대중문화와여성의성

1. 대중문화와여성의성.hwp
2. 대중문화와여성의성.pdf
대중문화와여성의성

성적 주체로서의 여성의 재현과 대중 문화

Ⅰ. 서론

한국 사회에서 성을 둘러싼 여성주의 논의에는 성별주의, 성에 대한 본질주의, 성과학, 그리고 역사주의적이고 구성주의적인 관점들이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은 한국의 여성학 연구자들로 하여금 다양하게 등장하는 성 문제에 대해 “여성들은 억압받고 희생당하고 있다”는 이성애에 기반한 성차별주의의 일반론을 반복하면서 모든 이유들을 이론적 방법론적 교착 지점에 대열시키게 했다. 이제 여성주의의 성 연구는 남녀 구도 속에서 모든 문제를 가부장적 남성 중심의 성으로 환원시켰다. 성 논의의 교착지대를 피해갈 수 없게 되면서 성 연구를 둘러싼 이론적 방법론적 모색을 하고 있다.
이 글은 여성의 성은 성별화된 인간 범주인 여성의 내부에 혹은 몸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한 사회에서 다양한 사회 관계를 맺고 있는 여성 개인이 그 사회에서 위치지어지는 다양한 담론 속에서 구축된다는 입장을 갖는다. 따라서 성적 주체의 문제는 성적 존재로서의 인간/여성을 상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담론과 실천에 의해 성적 주체로 구성되고, 새롭게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Ⅱ. 여성학 연구에서 성별과 성, 성적 주체

1970년대 이후의 성 연구는 역사주의와 문화주의적인 입장에서 진행되었다. 여기서 성을 논하는 방식은 두 가지로 제기될 수 있는데, 하나는 자신과 맺는 관계 즉 자신의 주체성과의 관계에서 제기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성이 사회와 맺는 방식에 대한 질문이다. 여성을 정의하는 성별은 문화적 산물이고, 남성과 여성의 성관계 혹은 성(sexuality)에는 가부장제 사회에서 관철되는 남녀의 권력관계가 내재되어 있다는 여성학의 입장은 성에 관한 역사주의적 연구에서 처음부터 특권적 지위를 갖고 있었다.
....
사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