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의 배경과 정신

1. 3.1운동의 배경과 정신.hwp
2. 3.1운동의 배경과 정신.pdf
3.1운동의 배경과 정신
3.1운동의 배경과 정신

1. 무단 통치 아래서의 3.1 운동

1910년 8월 22일 조선은 일본에 ‘병합’되어 그 식민지가 되었다. 일본이
강화도조약이래 노래처럼 불러대던 조선의 ‘독립’은 러일전쟁 후에는 ‘보호’, 그리고 다시 ‘병합’으로 일변했다. 이른바 조선 ‘병합’을 위한 구체안은 이미 일찍이 1909년 4월의 이또, 가쓰라, 고무라 등 3거두회담에서 작성되어 그해 7월 각의의 결정을 거쳐 천황의 재가를 받았다. ‘병합’의 의미는 “한국이 전연 폐멸(廢滅)에 귀(歸)하고 제국의 영토의 일부”가 된다는 것이었다.
‘병합’의 마지막 절차는 1910년 6월 제2대 통감 소네 아라스께의 후임으로 육군대신 겸임인 채 제 3대 통감에 취임한 데라우찌 마사다께와 희대의 매국노 이완용과의 사이에 이루어져서, 8월 22일에 조인하여 29일에 발표했다. 데라우찌는 통감취임과 동시에 이완용 내각으로부터 경찰권을 박탈하여 헌병경찰제도를 확립했다. 즉 통감부는 형식상 조선정부에 속해 있던 일본인 경찰관 및 그 보조원을 인수, 일본 헌병대와 통합하여 주한 헌병대 사령관 아까시 모또지로를 통감부의 경무총감으로, 각도의 지방헌병대장(중.대령급)
을 그 경무부장 겸임으로 했다. ‘병합’ 직전의 조선은 헌병결찰 지배하의 하나의 군사감옥으로 화했다. 당시 조선에 주재해 있던 도끼오의 말을 빌면, “...또 언론의 취체는 비상히 엄중을 극하여 연설 한번 허용치 않고 일체 정치적 집회는 불허했으며, 한인으로서 수인이 모여 무엇인가 협의하고 있으면
당장 당국의 눈이 번뜩이는 식의 단속이었으므로 조선의 정당정파도 소리를 삼키고 숨을 죽이는 수밖에 없었으며, 한자신문은 물론이요 일본말 신문과 통신에 대한 단속도 엄중가혹을 극하여 조금이라도 불온한 논조가 있거나 또는 시국에 관하여 억측의 기사를 게재하면 곧 발행을 정지시켰고, 일본에서 발행하여 조선으로 이입하는 신문은 부산에서 억지(抑止) 한다는 식이어서 하루라도 신문의 발행정지를 보지 않는 날이 없는 형세였다.”
....
사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