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

1. 단군.hwp
2. 단군.pdf
단군
◈목차◈

Ⅰ. 고조선의 단군신화
1. 신화적 특성
2. 단군신화의 인식에 대한 객관성의 문제

Ⅱ. 고구려의 주몽신화
1. 주몽신화의 특징
2. 주몽신화의 심층적 분석
(1)부여건국신화 = 고구려건국신화
(2) 주몽 신화의 내용 - 모계중심
(3)작은 소재가 신화를 창출

Ⅲ. 무속신화인 당금애기(제석본풀이)
1. 신화적 측면에 따른 「당금애기」속 등장인물 분석
(1) 석가여래
(2) 당금애기
2. 「당금애기」의 신화적 공간
3. 신화적 본질에 따른 희생제의의 무속신화

Ⅳ. 고조선의 단군신화 ․ 고구려의 주몽신화, 무속신화인 당금애기의 비교 고찰
1. 고조선의 단군신화
(1)단군신화는 사회통합의 상징
(2)고대사회의 발전상 담겨
2. 고구려의 주몽신화
3. 당금애기(제석본풀이)

☞고조선의 단군신화, 고구려의 주몽신화, 무속신화인 당금애기(제석본풀이)의 비교 연구

Ⅰ. 고조선의 단군신화

1. 신화적 특성

전통이 있는 나라의 역사들은 흔히 그 첫머리를 신화로 시작합니다. 우리나라의 역사도 역시 신화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다 잘 알고 있는 단군신화입니다. 단군신화는 현재 전하는 자료로 볼 때, 13세기 후반 고려의 일연 스님이 편찬한 『삼국유사』에 실려 있습니다. 단군신화는 우리의 입장에서는 너무나 친근한 이야기이며 논리의 차원을 넘어서 민족의 정서로 자리 잡고 있지만,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접근할 때는 신화나 역사로서 취약한 감도 없지 않습니다. 일제시기 일본인 학자들이 단군신화를 몽고의 침입에 시달리던 고려 후기에 일연 스님이 민족의식을 고양하기 위해 창작했던 것으로 치부하였던 것은 근본적으로는 식민지사관에 의한 것이지만, 이와 같은 이유도 없지 않아 있었을 것입니다.

....
인문, 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