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경제하의 단기 종합균형은 단기간에 있어서 물가수준이 고정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생산물시장의 균형을 나타내는 DD 곡선과 자산시장의 균형을 나타내는 AA 곡선이 교차하는 점, 즉 두 개의 시장이 동시에 균형을 이루는 점에서 이루어진다. (이때 외국이자율 R*과 예상환율 Ee은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림 1]은 DD 곡선과 AA 곡선을 결합한 것으로서 두 개의 곡선이 점 1에서 교차하고 있다. 즉, 점 1에서만이 두 개의 시장이 동시에 균형을 이루고 있고 이때의 단기균형환율은 E1이고 단기균형생산수준은 Y1이다.
[그림 1] 변동환율하의 단기종합균형 : 생산물시장과 자산시장의 동시균형
E1
Y1
AADD1
환율
(E)
생산(Y)
0
왜 점 1에서만이 종합균형이 이루어지는가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 2는 DD 곡선과 AA 곡선상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 점 2에서의 환율 E2은 AA 곡선상의 균형환율 E3보다 높다. 이는 미래에 예상되는 환율의 하락률(E2에서 E3으로 : 달러의 평가절상율)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또한 달러화의 예상수익률이 마르크화의 예상수익률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외환시장에서 달러화의 초과수요가 발생하고 달러화의 초과수요는 달러화의 이자율을 인상시켜 환율을 인하시킨다. 이러한 달러화의 평가절상은 달러화의 예상수익률과 마르크화의 예상수익률을 일치시킴으로써 점 3에서 자산시장의 균형이 이루어진다.
....
[증권경제론] 환율 변동의 경제적 파급효과 - 원, 달러 환율 [증권경제론] 환율 변동의 경제적 파급효과 - 원, 달러 환율
【 목 차 】
Ⅰ. 환율의 의미
1) 환율의 개념
2) 환율변동의 요인
Ⅱ. 환율변동의 파급효과
1) 환율변동이 국제수지에 미치는 효과
2) 환율변..
환율변동과_경제상황의_상관관계 환율변동과 경제상황의 변화의 상관관계
[목차]
제 Ⅰ 장. 서론
제 1 절 논문의 목적
제 Ⅱ 장. 환율제도의 변화와 동아시아국가의 환율변화 추세
제 1 절 환율제도의 시작
1. 환율의 도입 및 개념
2. 환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