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사항
예, 부선이 結合되는 條件으로 船舶이 運航될 때에는 예선은 부선을 위해 運航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本 件과 같은 船舶 衝突事故에서는 부선의 船主가 損害賠償責任이 發生한다고 보는 것이 相當하다. 또한 被申請人이 主張하는 바와 같이 〃本件 船舶衝突事故일로부터 消滅時效期間인 2年이 경과한 事實은 認定이 되나 동 消滅時效가 完成되기 이전에 제15삼부호 船主는 申請人에게 92. 4. 7- 5. 6 각각 損害賠償催告를 한 시실을 認定할 수 있으므로, 民法 第174條(催告의 時效中斷)에 따라 本件 損害賠償 請求權은 消滅時效가 完成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事件 92-54 : 船舶保險 紛爭(92. 8. 31)
1. 다툼이 없는 事實
1989. 9. 13 申請人과 被申請人 사이에 被保險者 : 申請人, 保險目的 : 제3영남호, 保險金額 : 1억 5천만원, 保險條件 : ITC HULLS(83. 1. 10) F.P.A. 4/4 RDC 등을 內容으로 하는 船舶保險 契約이 締結된 事實
90. 7, 27 03:45경 위 부선 〃제O영남〃호가 예인선 〃제△영남〃호에 의해 結合되어 木浦를 出發하여 釜山으로 航海중 전남 완도군 생일도 부근 海上에서 짙은 안개로 삼부해운 소속의 〃제x삼부〃호와 衝突, 同 〃제x삼부〃호의 좌현 中央 部位가 破損된 事實 등은 當事者 사이에 다툼이 없다.
해상보험과 해상손해의 개요와 특징 및 적용사례 조사분석 Report
( 해상보험과 해상손해의 개요와 특징 및 적용사례 조사분석 )
목 차
1. 해상보험의 개념 및 특징
2. 해상손해의 개념 및 특징
해상보험의 개요
Ⅰ.해상보험의 개념
해상보험(marine insurance)이란 ..
해상위험과 해상보험 본 자료는 해상위험의 종류와 해상보험의 용어를 비롯하여 관련 사례로 1) 피보험이익과 소유권 이전, 2) 면책약관의 해석, 3) 불명확한 보험기간에 따른 불분명한 책임소재 등
3가지 사례를 제시한 자료임
1. 해..
국제물류와 해상보험 [국제물류와 해상보험]
[ 목 차 ]
1. 해상보험과 그 중요성
2. 해상보험 당사자 및 용어
3. 해상위험의 정의
4. 해상위험의 요건
5. 해상손해의 정의
6. 해상손해의 유형
7. 보험조건과 손해보상의 범위
..
해상보험과 협회적하약관 본 자료는 해상보험의 개념과 성립요건을 비롯하여 보험계약에 대한 용어, 해상보험계약의 기본원칙, 적하보험기간, 피보험이익, 보험가액과 보험금액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보험계약 보상조건 그리고 면책위험 및..
[해상보험] 해상보험의 의의와 주요대상, 해상보험계약의 특징과 당사자 목차
해상보험
1. 해상보험의 의의
해상보험(marine insurance)은 해상사업에 관한 사고로 인하여 생길 손해를 보상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보험이며 손해보험의 일종이다. 영국의 1906년 해상보험법(Marine Insu..
해상보험 핵심 정리 본 자료는 [해상 적하보험 핵심 정리]에 대해 소개한 자료로 해상보험의 의의, 보험자와 피보험자의 관계, 해상보험과 무역계약의 관계, 해상보험과 운송의 관계, 해상보험 계약의 4가지 원칙, 현업에서 알아둬야 ..
해상위험(maritime perils) 본 자료는 [해상위험(maritime perils)]에 대해 소개한 자료로 해상위험의 정의, 해상위험의 조건, 해상위험의 특징, 해상위험의 종류, 위험 담보 여부에 따른 분류, 위험부담에 관한 원칙, 영국해상보험법(MIA)에..
[무역보험] 해상보험의 개념과 종류 및 해상보험용어, 해상손해의 유형 [무역보험] 해상보험의 개념과 종류 및 해상보험용어, 해상손해의 유형
목차
무역보험
Ⅰ. 해상보험의 개념
Ⅱ. 해상보험용어의 해설
1. 보험자
2. 보험계약자와 피보험자
3. 보험증권과 약관
4. 보험목적물과 ..
[법학] 국제보험론 판례조사 국제보험론 판례조사
목 차
1. 판례⑴
2. 판례⑴에 대한 자신의 생각
3. 판례⑵
4. 판례⑵에 대한 자신의 생각
1. 판례 ⑴
대법원 2003. 6. 13. 선고 2001다42660 판결 【보험금】
[공2003.7.15.(182),1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