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쓰는법

1. 지방쓰는법.hwp
2. 지방쓰는법.doc
3. 지방쓰는법.pdf
지방쓰는법
지방쓰는 법
지방은 신주가 없을 때 임시로 만드는 표상이다.
지방은 흰 간지로 만들며 신주모양과 같이 하고 크기도 신주와 같이 높이 24cm, 너비 6cm정도면 된다. 지방을 쓸 때는 목욕재계하고 의관(衣冠)을 정재(整齎)한 다음 단정히 끓어 앉아서 써야한다.

지방의 문구 중에서 고(考)는부(父)와 같은 뜻으로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에는 '고'라하며 비는 모와 같은 뜻으로 어머니 사후(死後)에는 '비'라 한다.

돌아가신 아버지에게 관직(官職)이 있으면 관직을 쓰고 관직이 없으면 처사(處士)나 학생(學生)이라고 쓴다. 또한 어머니에게 생전의 봉호(封號:왕이 봉하여 내려준 호)가 있으면 봉호를 쓰고 봉호가 없을 때에는 '유인모관모씨(孺人某貫某氏)' 예를 들면 '孺人慶州李氏'라고 관향(貫鄕:本)을 넣어 쓴다.

▶ 아버지일 경우 :顯考某官府君神位(아버님 무슨 벼슬을 지내신 어른 신위라는 뜻), 할아버지이면 顯祖考, 증조할아버지이면 顯曾祖考로 쓰며, 某官은 벼슬 이름을 쓰는데, 벼슬하지 아니하였으면 學生(학생)이라 쓴다.

▶ 어머니일 경우 :顯某封某氏神位(어머님 무슨 부인, 본관성씨의 신위라는 뜻), 할머니이면 顯祖, 증조할머니이면 顯曾祖로 쓰며, 某封은 남편의 벼슬 품계에 따른 정경부인(貞敬夫人)· 정부인(貞夫人)·숙부인(淑夫人) 등의 봉호(封號)를 쓴다. 벼슬이 없으면 孺人(유인)이라 쓴다. 내외분을 합설(合設)하여 제사 지낼 때는 고위(考位)를 서쪽(왼쪽), 비위(位)를 동쪽(오른쪽)에 모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