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보육시설 확대를위한 토론

1. 직장보육시설확대를위한토론.hwp
2. 직장보육시설확대를위한토론.doc
3. 직장보육시설확대를위한토론.pdf
직장 보육시설 확대를위한 토론 내역입니다.
직장보육시설 확대를 위한 토론

기업주 전담운영
노조 전담운영
위탁기관 운영

장점
‐ 교사의 신분, 처우를 회사측에서
보장함.
‐ 운영의 1차적 책임자가 기업이므로, 운영비의 상당부분을 담당, 운영비지원이 많을수록 질높은 보육이 가능함.
‐ 기업의 책임이 높을수록 운영비지원이 확대되며, 보육료도 저렴함.
‐ 노조에서 시설운영과 연관하여 세세하게 신경쓰지 않음으로 인해, 노조의 역할이 축소됨
‐ 조합원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실질적인 도움이 될수 있는 시설로 운영이 가능함.

단점
‐ 기업의 지원수준, 인식수준에 따라 보육의 질이 결정됨.(기업이 시설을 비용으로만 사고할시 대상선정, 교사수 및
대우수준,시설수준이 낮아지게 됨)
‐ 교사를 계약직으로 채용할 경우, 교사인력의 안정적 확보에 어려움이 있음.
‐ 부모들의 시설 운영과 관련된 의견 수렴이 원활하지 않음
‐ 노조가 시설운영과 연관한 논의기구에 참여하지 못하면, 노조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지 못함.

개선되어야 할 사항
‐ 기업의 책임의식을 높이고, 운영비 지원수준을 구체적으로 설정해야 함
‐ 교사의 신분을 정규직화하고 동일한 대우를 보장해야 함
‐ 노조, 부모, 교사대표들의 의견을 수렴할 기구가 필요함.
...
직장 보육시설, 확대, 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