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실험 - 기초 정전기 실험

1. 물리 실험 - 기초 정전기 실험.hwp
2. 물리 실험 - 기초 정전기 실험.pdf
물리 실험 - 기초 정전기 실험
기초 정전기 실험

Abstract
[1-1] 전하란 전기적, 자기적 효과를 만들어 내고 또한 이를 경험하는 물질의 성질을 의미한다. 전하는 양전하와 음전하의 두 종류가 있으며, 전하는 독립적인 존재가 아니고 항상 물체에 존재한다. 즉 질량과 함께 존재하며, 물체가 전하를 가지게 되면 그 물체는 대전되었다고 한다. 전하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고립계에서 전하의 총량은 항상 보존된다’ 는 전하량 보존 법칙을 따른다는 것이다. 즉 중성의 두 물체를 서로 문지르게 되면 하나는 양의 부호로 대전되고 다른 물체는 같은 양의 음전하를 얻게 되어 음의 부호로 대전된다는 것이다.
이 실험에서는 접촉에 의한 대전(중성의 두 절연체 간의 대전, 대전된 절연체와 중성의 도체 간의 접촉에 의한 대전)과 유도에 의한 대전 실험을 진행하였고, 실험 결과에 의해 전하의 발생(대전) 과정을 이해하였다.

. INTRODUCTION
[1-2] 이 실험에서는 단순히 마찰에 의한 대전 과정이 아닌 유도에 의한 대전 과정 등 여러 가지 실험을 진행하여 전하의 발생(대전) 과정과 전하의 분포 등 정전기적 현상에 대해 정성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닌 정량적으로 경험함으로써 정전기 현상에 대해 정확한 이해를 얻게 된다.

Ⅱ. EXPERIMENT SCHEME
우리는 이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여 전하의 발생(대전)현상을 이해하였다.
A. 중성의 두 절연체 간의 마찰에 의한 대전(비닐과 고무)
B. 대전된 절연체와 중성의 도체 간의 접촉에 의한 대전
C. 유도에 의한 대전1 - 두 개의 금속구 사용
D. 유도에 의한 대전2 - 한 개의 금속구 사용
E. 전하 분포(D 실험에 대한 보충)

A 실험에서는 중성의 두 절연체 간의 마찰에 의한 대전을 알아보기 위해 대전봉 두 개의 서로 다른 면을 마찰 시켜 Ice Pail에 넣어 전하량을 측정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