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 질병, 권력 - 통일전쟁기 신라의 군진의학’ 감상문

1. ‘몸, 질병, 권력 - 통일전쟁기 신라의 .hwp
2. ‘몸, 질병, 권력 - 통일전쟁기 신라의 .pdf
‘몸, 질병, 권력 - 통일전쟁기 신라의 군진의학’ 감상문
신라 의학 발달의 토대가 된 신라의 군진의학
‘몸, 질병, 권력: 통일전쟁기 신라의 군진의학’ 감상문

목차

1. 내용요약
2. 감상문
3. 참고문헌

1. 내용요약

국가 권력은 개인의 몸에서 산출되는 노동력에 가장 관심을 가졌는데 전근대 동아시아 사회에서 부역과 군역으로 존재하는 역을 부담했던 계층은 주로 농민이었다. 그러므로 군역이란 권력이 ‘농민의 몸’을 ‘군인의 몸’으로 전환시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에 대한 질병의 치료는 군사 의학을 통해 이루어졌다. 다시 말해서 군사 의학은 전쟁이 일어났을 때 군대 내에서 대규모로 발생하는 각종 부상자와 질병에 걸린 사람들을 관리했는데, 이를 군진의학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군대는 많은 인원이 밀집 생활을 하기 때문에 각종 질병이 빈번했고 대규모 전염병은 특히 전력에 큰 차질을 초래하기 때문에 국가 권력은 전쟁기간에 개인의 몸에 대해 가장 관심을 가졌다. 전쟁기간은 어느 특정한 질병이 기승을 부릴 수 있는 조건들이 극대화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병사들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은 중요하다.
한편으로는 그렇기 때문에 전쟁기간 동안 군진 의학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전쟁이 끝난 후 민간 의학의 발전까지 이룩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7세기 중엽 신라의 통일 전쟁 때를 예로 들어 이러한 양상을 살펴보고 있다. 장기간의 국제 전쟁으로 인해 7세기 중엽 신라 사회는 면역 체계가 아주 열악했으므로 신라 지배층은 통일 후 각종 대민 의료 정책을 수립하게 되었다. 이는 국가 권력이 개인의 노동력에만 관심을 가졌던 것에서 더 나아가 일반 민의 건강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공공 의료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는 점에 있어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국가 권력이 개인의 몸을 분류하였던 방식과 군역을 부담한 이들의 질병을 어떻게 치료하고 관리했는지 살펴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