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보장론 - 한국과 각국의 산업재해보험제도

1. 사회보장론 - 한국과 각국의 산업재해.hwp
2. 사회보장론 - 한국과 각국의 산업재해.pdf
사회보장론 - 한국과 각국의 산업재해보험제도
한국과 각국의 산업재해보험제도

목 차

1. 산재보험의 정의와 기원
2. 산재보험의 필요성
3. 국제적인 산재보험의 흐름
4. 우리나라 산재보험의 역사와 산재보험 절차
5. 산재보험정책의 방향
[참고문헌 및 출처]

1. 산재보험의 정의와 기원

우선 산업재해란 말의 정의부터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겠다. 산업재해란 업무상의 사유에 따른 근로자의 부상, 질병, 장해 또는 사망을 의미한다(법제처, 2008).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약칭 산재) 사망자는 1만 명당 1.14명으로 아직도 선진국에 비해 3∼10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특히 산업재해자 가운데 화재나 폭발사고에 의한 재해자는 최근 3년간(2005년부터 2007년 9월까지) 2916명, 그 중 사망자는 197명이나 된다.
산업재해보상보험이란 “산업재해를 겪은 근로자와 그 가족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가 책임지는 의무 보험” 이라고 보고 있는데, 이는 근로자가 겪는 산업재해에 대해서 근로자와 그 가족을 보호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산업재해 외에도 다른 이유 등으로 (근로자가 해로운 작업 조건에 장기적으로 노출될 경우 등) 근로 중에 질병을 얻을 수 있는데, 이런 질병을 직업병이라 한다. 산재보험은 이런 질병들을 얻은 근로자들을 도와주기 위한 사회적인 장치라고 볼 수 있다.
산재보험의 기원은 근대의 산업혁명에 의한 제조업, 광업, 제강업 및 철도업 등의 급속한 발전, 산업 공정의 발전과 그에 따른 대량생산, 비숙련공들의 대량 고용 등은 작업장에서의 막대한 사고를 가져왔다. 산재보험(workers compensation)은 이러한 사고로부터 비롯된 근로자의 소득상실을 보전하며 충분한 요양서비스와 재활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인센티브 시스템의 강화를 통한 산재예방 동기의 강화와 신속하고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전달체계의 구축을 위하여 만들어진 프로그램으로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회보장형태로 행해지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2. 산재보험의 필요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