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하류화 현상과 우리 세대

1. [사회문화] 하류화 현상과 우리 세대.hwp
2. [사회문화] 하류화 현상과 우리 세대.pdf
[사회문화] 하류화 현상과 우리 세대
[사회문화] 하류화 현상과 우리 세대

목 차

Ⅰ. 서설
Ⅱ. 본론
1, 청년문화의 형태
2. 88만원 세대 - 청년 문화의 배경
Ⅲ. 결론

Ⅰ. 서설

대중문화에도 패배자의 정서를 담은 ‘루저 문화’가 조금씩 확산되고 있다. 루저라는 개념의 대상이 단순히 미녀들의 수다에서 한 여성에 의해 발언된 ‘키 180cm 이하의 남자’ 를 넘어
저소득자, 미취업자를 비롯한 사회적인 소수계층에게까지 확대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루저문화라 함은 취업전선에서, 결혼에서, 사업에서 낙오한 사람들의 비참한 생활을
나타내는 패배자의 정서에 해당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오늘날 ‘88만원 세대’ 또는 ‘트라우마 세대’의 정서를 대변하는 청년문화 역시도 인디밴드의 대중가요, 그래피티 예술(길거리 미술), 만화 등 의 다양한 장르를 통해 사회를 비판하고 풍자하며, 사회적 약자들의 삶에 애정 어린 시선을 보내는 대표적인 루저문화의 예이다.

Ⅱ. 본론

1, 청년문화의 형태

1)루저문화의 일상화를 노래한 장기하

‘인디계의 서태지’로 불리는 장기하는 현실이 힘들더라도 루저 즉, 패자로 인생을 포기하지 말고 , 그런대로 노는 방식을 가르쳐주었다.
‘싸구려 커피를 마신다. ’ , ‘ 미지근해 적잖이 속이 쓰려온다’ ,‘ 난 그다지 좋은 사람이 아니야, 그렇다고 멋진 사람도 아니야~’ 등과 같은 가사를 통해서 장기하는 스스로의 한심한 처지를 긍정하는 것처럼 보이나, 사실은 긍정도 부정도 아닌 방식으로 깨닫겠다는 의지가 읽혀진다. 즉 특별한 패배자로서가 아니라 평범한 20대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보편적인
감정과 생각이라고 본 것이다.
자본과 기획력, 대량홍보 등 대형기획사가 주는 이점을 버리고, 자신들이 원하는 음악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열심히 사는 이들의 모습은 현 사회에서 루저로 낙인 찍혀진 88만원세대의 우리로 하여금 잃어버린 꿈이 무엇인지 다시 한 번 고찰하게 한다.

2)그래피티 예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