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소개
서정주(徐廷柱 1915-2000) 시인. 전북 고창 출생. 호는 미당(未堂).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벽”이 당선되어 등단(1936). 1936년 불교전문 중퇴. [시인부락] 주간. 흔히 ‘생명파’ 혹은 ‘인생파’로 불림. 1948년 동아일보 사회․문화부장. 서라벌 예대․동국대 문리대 교수를 역임. 1972년 불교문학가협회장. 1976년 명예 문학박사(숙명여대). 1979년 한국문인협회 명예회장, 1979년 동국대 대학원 명예교수
주요 시집과 시 세계
[화사집](1938) : 악마적이며 원색적인 시풍, 토속적 분위기를 바탕으로 인간의 원죄 (原罪)를 노래함. 스스로를 죄인으로 여기고 그 운명적 업고(業苦)를 ‘문둥이’, ‘뱀’을 통해 울부짖었으며, 이후 미당은 ‘한국의 보들레르(프)’로 불림
[귀촉도](1946), [서정주 시선](1955) : 원숙한 자기 성찰과 달관을 통한 화해. 동양적 사상으로 접근하여 재생(再生)을 노래. 민족적 정조와 그 선율(旋律)을 읊음
[신라초](1960) : 불교 사상에 관심을 보여 주로 불교국(佛敎國) 신라에서 시의 소재를 얻음. 선적(禪的)인 정서를 바탕으로 인간 구원을 시도하고 새로운 질서를 확립함
[동천](1968) : [신라초] 시대보다 더 불교에 관심을 두고, 신비주의에 빠져드는 시기
[질마재 신화](1975), [떠돌이의 시](1976) : 토속적이며 주술적인 원시적 샤머니즘이 노래되며, 시의 형태도 산문시, 정형시로 바뀌게 됨
시 전문
신선(神仙) 재곤(在坤)이
땅 위에 살 자격이 있다는 뜻으로 재곤(在坤)이라는 이름을 가진 앉은뱅이 사내가 있었습니다. 성한 두 손으로 멍석도 절고 광주리도 절었지마는, 그것만으론 제 입 하나도 먹이지를 못해, 질마재 마을 사람들은 할 수 없이 그에게 마을을 앉아 돌며 밥을 빌어먹고 살 권리 하나를 특별히 주었었습니다.
....
[국문학] 이생규장전 작품론[작품분석] 이생규장전 작품론
소설 「이생규장전」
현재 국립국악원에서 ‘영원한 사랑’이라는 정가극으로 리메이크되기도 한 「이생규장전」은 애절한 사랑이야기가 담긴 고전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이야..
서정주 시 연구 서정주 시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Ⅰ. 서정주의 생애
Ⅱ. 발간된 시집
Ⅲ. 자화상
1. 농경사회적문화가 근대산업사회..
[국문학] 김시습의 금오신화(金鰲神話)와 문학관에 관해서 [국문학] 김시습의 금오신화(金鰲神話)와 문학관에 관해서
목 차
1. 금오신화(金鰲神話)에 대하여
2. 금오신화(金鰲神話)의 특징 및 의의
3. 김시습의 문학관
1. 금오신화(金鰲神話)에 대하여
김시습이 경주의..
사씨남정기 작품분석 사씨남정기
작품 해제
이해와 감상
꼼꼼히 읽기
시야 넓히기
등장 인물들의 가계도
작품 해제
작품 해제
갈래 국문 소설, 가정 소설, 풍간(諷諫) 소설
성격 가정적, 풍간적(諷諫的)
연대 조선 숙종 15~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