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은 광범위한 대사요구에 따라 세포에 산소를 공급하고 신체로부터 탄산가스를 제거하는 무의식으로 행해지는 기계적 활동이다. 호흡기관은 높은 순응성(compliance)이 있으나 일단 호흡장애가 오면 운동을 감당할 수 없어 일상생활에 많은 제한을 받으며 자신이나 가족 및 사회에 신체적, 사회 심리적, 경제적 영향을 끼치게 되고 적응능력에 따라 행동양상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호흡재활은 호흡문제에 대한 조기진단과 예방, 적합한 치료계획으로 질적인 삶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1. 호흡기계 해부 구조
1) 상기도계
비강, 구강, 인두, 후두로 구성된다
(1) 코
hair follicles 가 있어 흡입공기를 여과하는 호흡계의 제 1차적 방어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외에 흡입공기의 가온 및 가습, 발성 그리고 후각기능을 가지고 있다.
(2) 인두
후두와 식도입구에 이르는 근 점막으로 된 공동으로서 제 6경추 체의 높이에 해당된다.
(3) 후두
후두의 상부는 인두 그리고 하부는 기관에 연결되는 공기의 통로로서 대부분은 연골로 구성되어 있다. 성인의 경우 안정 시에 상부는 제4경추의 상단에 그리고 하부는 제6경추의 하단에 해당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2) 하기도계
하기도계는 기관, 좌우기관지, 세기관지, 폐포로 구성된다.
(1) 기관
기관은 후두로부터 시작하여 제2 늑 연골 위치인 기관 분기 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제5 흉추 체의 높이인 이 분기부에서 기관은 좌우로 두 개의 추간 기관지로 갈라진다. 이곳은 carina라고 부른다.
(2) 세기관지
직경이 1mm이하이고 결체조직초로 둘러 쌓여 있지 않으며 기도의 벽이 폐실질과 연계되어 있는 기도를 세기관지라 부른다.
....
[재활] 호흡기계 질환의 재활 호흡기계 질환의 재활
호흡근의 기능적 해부학
호흡재활
호흡근의 기능적 해부학
1.호흡근
환기에 관여하는 흉곽(가슴우리)과 복부의 여러 근육들은 주 근육과 보조 근육으로 분류할 수 있다
주 근육:횡..
[간호학] 무의식과 실어증 환자의 간호 무의식과 실어증 환자의 간호
무의식 환자의 간호
1. 무의식의 정의
무의식은 대뇌기능이 저하된 상태로, 혼미 상태에서 혼수 상태까지를 포함한다.
2. 무의식의 원인
1)혈관질환(뇌내 동맥류의 파열, 뇌혈..
호흡과 폐기능검사[Pulmonary Function Test]에 관해 1. 호흡(respiration)
호흡의 해부, 생리
외부로부터 산소를 체내로 흡입하여 세포로 운반하고 세포가 그 산소를 소비하여 대사를 시행한 후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체외로 배출하는 전 과정.
호흡의 목적
외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