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운동학] 거골하 관절의 생체역학[Biomechaincs of the Subtalar Joint]

1. [임상운동학] 거골하 관절의 생체역학[.hwp
2. [임상운동학] 거골하 관절의 생체역학[.pdf
[임상운동학] 거골하 관절의 생체역학[Biomechaincs of the Subtalar Joint]
거골하관절의 생체역학
Biomechaincs of the Subtalar Joint

인간은 독특한 구조물인 두 발로 위치이동을 하는데 어떤 이유로 발을 다치게 되면, 걷거나 달리기할 때 많은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이런 현상이 장기간 계속 진행될 때는 하지, 척추나 골반 등의 자세변화에 영향을 주게 된다(황보 각 등, 1996 ; Rose와 Gamble, 1994). 이렇게 자주 일어나는 발목과 발의 문제들은 발의 복잡한 구조 때문이고, 그것은 과중한 체중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이라고 한다(Norkin과 Levangie, 1992). 그 예로 평지 보행을 할 때 발이 받는 하중은 체중의 4.5배 정도이다(Stauffer 등, 1977). 인체의 관절중에서 어느 하나 중요하지 않는 것이 없지만, 발의 관절은 체중을 떠받치고 있고 다양한 지면위를 보행할 때 그 유연한 움직임이 지속적으로 일어나야 하기 때문에 약간의 비정상적인 기능이 초래되더라도 인체의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본 글은 거골하관절과 관련된 발의 해부학과 거골하관절의 생체역학에 대한 중요성을 임상가들에게 인식시켜 그들이 발의 기능과 문제점들을 평가와 치료할 때 좋은 결과를 얻도록 하는데 있다.
발은 26개 뼈와 2개 종자골로 구성되고 57개의 관절로 이루어져 있다(Sammarco, 1989). 발의 뼈들은 인체의 다른 활액관절보다도 강한 인대로 지지되어 있으며, 발에는 13개의 외재근과 19개의 내재근이 부착되어 관절과 뼈의 연쇄사슬을 조절하는 운동장치로써 작용한다(Sammarco, 1989). 뼈의 연결은 사슬고리와 비교될 수 있으며 각 분절은 아래, 위의 다른 분절과 연결되어 서로 상호적으로 의존한다. 발의 움직임은 그 자체만으로도 근위 관절인 슬관절, 고관절과 골반 및 척추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발의 움직임을 교정하거나 발의 역학적인 질환들을 정확히 진단하고 치료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