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한국전통주거의 특성

1. [건축] 한국전통주거의 특성.hwp
2. [건축] 한국전통주거의 특성.pdf
[건축] 한국전통주거의 특성
한국전통주거의 특성

목 차
1. 서 론
2. 본 론
■ 전통 마을의 주거단지
■ 한옥의 건축특성
■ 한옥에 영향을 미친 배경
■ 사 례
3. 결 론

1. 서 론

도시의 아파트 단지 대부분은 경제성만을 강조하는 획일적인 판상형 일자형 배치계획으로 외부공간 이용이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이에 비해 전통마을에서는 산과 물, 녹지를 고려하여 마을을 자리잡았던 전통적인 지리사상을 읽을 수 있으며 자연에 순응하면서 집과 길이 만들어지고 필요한 시설물들이 들어선 것을 알 수 있다. 마을사람들 간에는 마을 단위로 이루어지는 생산과 제의의 공동체 생활을 통해 결속을 다져 왔다. 1990년대 중반이후부터는 수요자의 주거에 대한 요구변화, 아파트의 주호 내부 계획의 한계, 타 아파트 단지와 다른 차별성 부여, 외부공간이용의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다양한 외부공간 계획을 실시하고
있다.1)
한국전통주거공간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사조에 의한 분석으로 건축이 행해진 시대와 사회적인 배경, 사상에 의한 전통성과 한국성논의이다. 이에 따른 한국성의 표현으로는 여백의 개념, 마당, 담 등의 특징적 요소들로 분류하고 있다. 둘째는 공간구성 방법과 의장요소의 분석이다. 이는 구체적인 평면이나 입면요소를 분석, 나열하고 있다. 공간구성방법은 분산출입, 채와 채의 분화, 전이공간으로 구성되며, 의장요소는 기와사용, 박공지붕, 심벽 사용, 툇마루 등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분류로 전통성 또는 한국성에 관하여 요학하고 있으며, 위의 두 가지 분류가 건축분야에서는 모두 ‘유기적이다’ 라는 결론으로 축약되기도 한다.2)
이를 바탕으로 전통 마을의 주거단지, 한옥의 건축특성, 영향을 미친 배경, 사례 등을 분석하여 한국전통주거에 대해 정리하려고 한다.

2. 본 론

■ 전통마을의 주거단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