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회사업론 - 학교 교육의 병리현상의 하나인 자살에 대한 동기와 그것을 극복하고 일어선 경험에 대해

1. 학교사회사업론 - 학교 교육의 병리현.hwp
2. 학교사회사업론 - 학교 교육의 병리현.pdf
학교사회사업론 - 학교 교육의 병리현상의 하나인 자살에 대한 동기와 그것을 극복하고 일어선 경험에 대해
학교사회사업론

서론

교육의 병리란 교육현상에서 나타나는 사회병리 현상으로 기능적, 구조적 병리현상으로 나뉜다. 기능적 병리에는 학교교육의 병리적 현상, 학교교육의 병리적 현상, 학교교육의 병리적 현상이 있고, 구조적 병리현상에는 학교교육의 병리적 현상, 학교교육의 병리적 현상, 갈등의 병리현상이 있다.
이러한 학교 교육 병리의 유형에는 첫째 공부 기피 현상으로 우리 교육은 학업 성적에 의하여, 좋은 학생과 나쁜 학생, 문제 학생과 모범학생으로 구분하여 성적이 우수한 학생은 우월감 속에서 자랑하며 생활하고, 성적이 나쁜 학생은 열등감 속에서 공부에 흥미를 잃고 생활이 기계적, 수동적으로 이어지며, 공부 기피 현상은 점점 두드러져 간다. 둘째, 등교거부로 학교공포증, 시험 불안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유형으로는 격리 불안, 분리 불안에 의한 거부, 사회 정서적 미성숙에 의한 거부, 심리적 독립의 좌절에 의한 거부 등이 있다. 셋째, 비행으로 학교가 식 중심의 교육으로 공부에 적응을 못하여 열등감을 가진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사물이나 인물에게 공격하여 욕구불만을 해소하려 한다. 또 체벌과 통제 중심의 학생지도로 인해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비행은 현재 저연령화하고 있으며, 학부모들의 빗나간 교육관과 입시위주의 교육병리 현상으로 심한 정신적 압박을 받는 학생들의 비행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넷째, 자살이다. 우리나라 청소년 자살이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동기로는 현대사회의 고학력 지향의 반영, 자녀들에 대한 과잉보호, 부모들의 지나친 기대, 진학 경쟁, 사소한 욕구불만의 문제 해결 능력 부족 등이 있다.
이렇듯 다양한 학교 교육 병리현상 중에서 자살의 현상을 겪은 아동이 있다. 학생은 상당히 높은 수준의 불안을 갖고 있었으며, 학업성적은 우수하나 늘 시험불안에 시달렸다. 매일 혼자있을 때나 급우들과 함께 있을 때 등 일상생활 전반에서 우울감을 떨치지 못했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