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학개론 - 보육교사의 교육철학적 관점에 따른 역할과 보육교사의 역할에 대해 논하고 자신의 교직관을 쓰시오
[보육교사의 교육철학적 관점에 따른 역할과 보육교사의 역할에 대해 논하고 자신의 교직관을 쓰시오]
Ⅰ. 보육교사의 교육철학적 관점에 따른 역할
1. 성숙주의
인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을 강조하며, 인간 발달 의 보편성에 관심을 두고, 발달의 가장 중요한 힘은 아동의 내부로부터 나온다고 강조한 다. 아이에게 부모와 교육적.사회적 영향은 아동의 성장을 주도하는 요인이기보다는 아 동의 성장을 돕고 촉진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루소(Rousseau)가 설정한 보육의 목표는 개인의 완전한 자연적 성장의 달성에 있는데, 개인의 성장단계에 접합한 그때그때의 자연적 흥미에 입각한 교육이 중요하다. 따라서 교사는 지식을 가르치기 위한 교사가 되어서는 안 되고, 아동의 천성이 순조롭게 발달하 는 것을 보호하며 인위적인 간섭을 하지 않고, 자연성 그 자체로의 진행을 도울 수 있도 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야한다. 즉, 교사는 무엇을 가르치기 보다는 안내자의 역할을 해 야 한다.
성숙주의자들에 있어서‘가르친다는 것’의 의미는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범위 내에서 아 동의 흥미와 요구에 적합한 허용적이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성숙주의자들 의 동의하는 교욱활동에 대한 일반적인 원리와 심리 철학적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아동에게 선택의 기회를 주고 불필요한 성인의 개입을 최소한으로 줄이면, 발달 수준에 적합한 활동을 스스로 선택할수 있다.
- 아동은 다양하고 풍부한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발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성인은 아동의 흥미와 발달단계에 적합한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 특정하 활동의 유형은 매일 일정한 시간에 이루어져야 한다.
- 아동이 자신의 발달적 수준에 적합하지 않는 과제를 수행하도록 강요당하거나 압력을 받아서는 안된다.
....
교직의 성격과 교직관의 역사적 변천과정,교사의역할 교직의 성격과 교직관의 역사적 변천과정
1. 초등 교직의 기본 성격
가. 교사와 교직의 의미
나. 초등교직의 성격
2. 교직의 역사적 변천과정
가. 고대의 교직관
나. 중세의 교직관
다. 근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