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다양한 문화기획자와 실천가, 학자들이 모여 있는 강의 구조는 문화매개의 개념을 단순히 이론에 머무르지 않게 하고, 실제 사회 속에서 문화가 어떤 방식으로 재현되고 수용되는지를 다각도로 탐구할 수 있게 합니다.
커뮤니케이션의 매개 작용을 통해 사회속 문화현상을 입체적으로 조망하고, 그 구조적 의미와 매커니즘을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이 저의 학업 목표입니다.
세 번째는 문화정치성과 담론 분석을 통해 사회적 의미 구성을 탐색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저는 석사과정 동안 문화매개의 이론적 탐구와 실천적 연구를 동시에 수행하며, 단단한 학문적 기반을 갖춘 문화연구자로 성장해 가겠습니다.
특히 '공간을 매개로 한 문화담론의 형성'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전개하고자 합니다.
결국 제가 관심을 갖고자 하는 것은 단순한 공간 연구가 아니라, 문화가 특정 구조 속에서 어떻게 '기획되고' '재현되며' '수용되는가'에 대한 사회문화적 분석입니다.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문화매개 전공은 제가 갖고 있는 문제의식과 학문적 목표에 가장 부합하는 곳이었습니다.
더불어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의 연구환경은 공동연구와 집담회 중심의 학문문화가 활성화되어 있어 연구자 간의 사고 교류가 활발하다는 점에서 매력적이었습니다.
그런 맥락에서 문화 매개자 역시 단순히 콘텐츠를 유통하는 기능인력이 아니라, 문화현상을 날카롭게 통찰하고 사회적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는 기획적 존재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커뮤니케이션의 매개 작용을 통해 사회속 문화현상을 입체적으로 조망하고, 그 구조적 의미와 매커니즘을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이 저의 학업 목표입니다.
단순히 실무 중심의 기획력을 강화하는 것을 넘어, 문화매개의 이론적 토대와 비판적 분석 틀을 갖춘 연구자로 성장하고자 합니다.
첫 번째는 문화이론과 매개 개념에 대한 학문적 기반을 정립하는 것입니다.
세 번째는 문화정치성과 담론 분석을 통해 사회적 의미 구성을 탐색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연구방법론 측면에서는 질적 연구중심의 사례분석, 인터뷰 기반의 담론분석, 시각 자료 및 공간분석 등을 중점적으로 연마할 계획입니다.
문화공간의 시각 자료, 전시연출, 기획의도문, 관람자 반응 등을 수집하여 문화적 담론이 어떤 방식으로 기획되고, 수용되는지를 비교 분석할 계획입니다.
결국 제가 관심을 갖고자 하는 것은 단순한 공간 연구가 아니라, 문화가 특정 구조 속에서 어떻게 '기획되고' '재현되며' '수용되는가'에 대한 사회문화적 분석입니다.
따라서 졸업 후에는 문화현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사회적으로 실천 가능한 방식으로 매개할 수 있는 연구자이자 실천가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실제 문화정책이 시민사회와 어떤 방식으로 연결되고, 제도화 과정에서 어떤 담론을 선택하거나 배제하는지를 분석하면서 정책과 문화 사이의 간극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대학 강단에서 문화기획, 문화정책, 미디어 매개론 등을 가르치며 후속 연구자와 실천가를 양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