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2학기 장애인상담과교육 15p

1. 2025학년도 2학기 장애인상담과교육 15.hwp
2. 2025학년도 2학기 장애인상담과교육 15.pdf
따라서 디지털 리터 러시 평생교육은 단순한 기술교육을 넘어,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권리실현을 위한 실천적 교육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2024년부터 시행된 장애인 평생교육 이용권(바우처) 제도는 성인 발달장애인의 평생학습 참여를 직접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로, 디지털리터 러시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를 높이고 있다.
요컨대 성인 발달장애인의 디지털리터 러시 평생교육은
사례 4-유럽/미국 성인장애인을 위한 디지털리터 러시 및 노동시장 연계 교육
성인 발달장애인의 디지털리터 러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에는
결국 성인 발달장애인의 디지털리터 러시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따라서 디지털리터 러시 평생교육은 장애인의 인권과 시민권을 보장하는 핵심기반이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성인 발달장애인의 디지털리터 러시 평생교육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보고서는 성인 발달장애인의 디지털리터 러 시향상을 장애인 평생교육의 주요 주제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디지털 리터 러시 평생교육은 단순한 기술교육을 넘어,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권리실현을 위한 실천적 교육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국내외적으로 장애인 평생교육의 목표는 '보호 중심'에서 '자립과 참여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유네스코(UNESCO) 또한 2023년 「디지털 포용과 장애인 평생학습보고서」에서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과 ICT 활용역량 강화를 글로벌 평생교육 목표(SDG4)의 핵심 지표로 제시하였다.
1주제 선정이유와 근거 :성인 발달장애인의 디지털리터 러시
디지털 리터 러시는 단순히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적 능력을 넘어, 정보 탐색·분석·표현 및 온라인 소통과 참여를 포함하는 종합적 사고 능력과 사회적 실천역량을 의미한다.
헌법이 보장하는 교육권과 평등권에 근거한 법적 권리의 영역이다.
우리나라의 관련 법령과 정책은 장애인의 평생학습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으며, 그 근거는 「헌법」, 「평생교육법」, 「장애인복지법」, 그리고 「장애인 평생교육법(안)」 논의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으로 존재한다.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근거법인 「평생교육법」은 장애인 교육 참여를 명시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의 평생교육진흥을 위하여 장애인 평생교육시설을 설치·운영하거나, 법인 또는 단체 가 운영하는 시설을 지정하여 운영비를 지원할 수 있다."
이는 장애인을 위한 독립적 평생교육기관 설치의 법적 근거로,
평생교육법 시행령 제12조의 3(장애인 평생교육시설 운영비 지원)
특히 "정보통신설비 구축비"조항은 디지털 기반 평생교육 인프라의 법적 지원 근거가 되어,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디지털리터 러시 프로그램 운영과기자재 지원을 가능하게 한다.
이처럼 「평생교육법」과 그 시행령은 장애인 평생교육의 제도적 틀을 제공하며,
또한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 제8조는 "장애인의 직업능력개발 훈련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시설 및 훈련 사업"을 명시하고 있다.
해당 기관은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주간활동 및 평생교육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디지털리터 러시 관련 모듈이 포함되어 있다.
이 사례의 시사점은 "지역 재활기관과 평생교육기반 교육기관이 디지털리터 러시 모듈을 결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례 3-인도 및 케냐 장애인 대상 디지털스킬 훈련 프로그램("ScaffoldingD igitalLiteracyt hroughDigitalSkills TrainingforDisabledPeopleintheGlobal South")
인도와 케냐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는 저·중소득국(LMIC)에서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기술훈련을 설계하고 실행한 사례이다.
이 사례는 발달장애인뿐 아니라 다양한 장애인을 디지털 리터 러시교육 대상으로 삼을 때, 기기+접근 설계+커뮤니티 학습지원이 핵심임을 보여준다.
성인 발달장애인의 디지털리터 러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에는
특히, 지자체가 추진 중인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을 거점으로, 지역 내 기관이 연계하여 통합형 학습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평가체계는 학습자의 자존감과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키며, 지속적 학습 동기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장애인의 디지털 학습이 단기 과제가 아니라 지속가능한 사회정책으로 정착될 수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디지털리터 러시 평생교육은 단순히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차원이 아니라, 삶의 자립과 사회적 통합을 위한 필수 역량을 기르는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디지털리터 러시 평생교육은 지식의 축적이 아니라 사회 속에서의 자기 실현(self-realiz ation)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이다.
따라서 발달장애인의 디지털리터 러시 평생교육은 세계적 흐름 속에서 한국이 포용적 교육국가로 나아가기 위한 핵심과제라 할 수 있다.
국립특수교육원·국가장애인 평생교육진흥센터(2024).『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운영사례집』.세종 : 교육부.
국가장애인 평생교육진흥센터(2023).『장애인 평생교육시설 운영 활성화 연구』.세종 : 교육부 정책연구과제.
김수정·이혜진(2023).「발달장애성인의 디지털리터 러시교육 실태와 과제」, 『 특수교육학 연구』, 59(4), 77-102.
송하석(2021). 「장애인 평생학습센터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평생교육연구』, 27(2), 67-92.
장애인, 디지털, 평생교육, 학습, 교육, 사회, 평생, 발달장애, 리터, 참여, 러시, 성인, , 운영, 기술, 지원, 프로그램, 교육법, 능력,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