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학년 2학기 사진영상론 2025방통대 중간과제물

1. 미디어영상학과 3학년 2학기 사진영상.hwp
2. 미디어영상학과 3학년 2학기 사진영상.pdf
영상 커뮤니케이션에서 수용자의 능동성
수용자의 참여나 해석이 콘텐츠의 전개나 의미 구성에 영향을 미친 사례 분석
따라서 본보고서에서는 첫째, 영화 이론에서 말하는 '이중의 동일시' 개념과 그 심리적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둘째, 현대 영상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수용자의 능동성이 어떤 방식으로 확장되고 있는지를 논의하며, 셋째, 이러한 능동적 참여가 콘텐츠의 전개와 의미 구성에 영향을 미친 대표적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관객은 카메라를 '자신의 눈'으로 동일시하며, 이를 통해 영화 속 세계에 몰입하게 된 다.
이러한 수용자의 능동성은 단순한 참여를 넘어, 콘텐츠의 전개와 의미 구성 자체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영화의 '이중의 동일시'는 수용자의 내면적 몰입 구조를, '능동적 수용자' 개념은 외적 참여 구조를 설명하는 핵심적 이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보고서에서는 첫째, 영화 이론에서 말하는 '이중의 동일시' 개념과 그 심리적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둘째, 현대 영상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수용자의 능동성이 어떤 방식으로 확장되고 있는지를 논의하며, 셋째, 이러한 능동적 참여가 콘텐츠의 전개와 의미 구성에 영향을 미친 대표적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중의 동일시(dou bleidentification)'란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 크리스티앙 메츠(ChristianMetz)가 제시한 영화 이론의 핵심 개념으로, 관객이 영화를 감상할 때 두 가지 층위에서 동시에 동일시를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상상적 동일시와 1차적 동일시」이론에서 영화 관람이 단순히 '등장인물과의 동일시'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각적 위치와 카메라 시점에 대한 동일시도 함께 작용한다고 주장하였다 .
첫 번째 동일시는 '1차 동일시(prim aryidentification)'로, 관객이 카메라의 시점, 즉 '보는 주체'로서의 자리를 동일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관객은 카메라를 '자신의 눈'으로 동일시하며, 이를 통해 영화 속 세계에 몰입하게 된 다.
두 번째 동일시는 '2차 동일시(secondaryidentification)'로, 영화 속 등장인물과의 감정적 동일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영화 속 주인공이 두려움에 떨 때 관객도 심리적 공포를 느끼고, 사랑을 나눌 때 감정적 행복감을 느끼는 것이 바로 2차 동일시이다.
이러한 수용자의 능동성은 단순한 참여를 넘어, 콘텐츠의 전개와 의미 구성 자체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용자의 능동적 참여가 콘텐츠 전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사례로는 넷플릭스의 인터랙티브 영화『 블랙 미러 : 밴더스 내치(BlackMirror:Bandersnatch, 2018) 』를 들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관객의 선택은 단순히 '이야기의 분기점'을 결정하는 것을 넘어, 작품의 주제와 메시지 해석에도 영향을 미친다.
즉, 수용자의 능동적 참여가 곧 작품의 철학적 메시지를 완성시키는 구조인 것이다.
이는 수용자의 해석이 실제로 콘텐츠의 서사 구조에 반영된 사례로 평가된다.
밴더스 내치'의 경우, 수용자의 선택이 이야기의 구성요소가 되었고, K-POP 팬덤의 사례에서는 수용자의 해석이 콘텐츠의 세계관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수용, 동일시, 관객, 영화, 콘텐츠, 영상, 능동, 자의, 참여, 의미, 단순하다, 해석, , 영향, 구조, 선택, 사례, 통해, 심리, 이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