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알티SEM 분석자 기소개서 지원서
대학원 연구실에서 리튬 이차전지 소재의 표면 구조 변화를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SEM, EDS, FIB 등의 분석 장비를 활용해 왔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큐알티가 요구하는 높은 분석 정밀도, 반복 실험에 대한 인내력, 고객이 이해할 수 있는데이터 해석 능력과도 잘 부합합니다.
이는 향후 큐알티에서 신뢰성 있는데이터 분석과 결과도출에 있어 큰 자산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큐알티에서 분석 장비를 다루며 수많은 시편과 데이터를 관리하는 업무에서도, 이런 태도는 일관된 품질 유지에 중요한 자산이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특히 SEM(주사전자현미경)을 활용한 고분해능 표면 구조 분석과 그 결과의 해석 및 리포팅 경험이 많기 때문에, 큐알티가 추구하는 정확한 분석과 고객 중심 보고체계에 적합한 인재 라고 확신합니다.
이러한 경험은 큐알티가 요구하는 높은 분석 정밀도, 반복 실험에 대한 인내력, 고객이 이해할 수 있는데이터 해석 능력과도 잘 부합합니다.
또한 협력사 또는 고객사 요청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시편을 정확히 준비하고 분석하는 실무적 유연성도 갖추고 있어, 큐알티에서 실질적인 업무기여가 가능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제가 가장 강렬히 성취하고 싶었던 일은 석사과정 중 수행한 "리튬이차전지 양극소재의 열화 메커니즘 규명"이라는 연구 프로젝트를 SCI급 논문으로 출판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는 향후 큐알티에서 신뢰성 있는데이터 분석과 결과도출에 있어 큰 자산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는 산업체 특유의 속도와 일정관리에 익숙한 분이었고, 저는 학문적 해석과 실험조건 검증에 많은 시간을 두는 스타일이었습니다.
특히 그는 "실험 결과가 빨리 나와야 이후 일정이 정리된다"는 입장이었고, 저는 "정확하지 않은 결과는 오히려 낭비"라고 주장했습니다.
연구실은 단순한 실험공간이 아니라, 한정된 자원을 공유하고 함께 결과를 만들어가는 협업의 장이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학부생 조교들도 장비에 대한 책임감을 갖게 되었고, 전체 연구실의 실험 일 정도 점차 안정화되었습니다.
따라서 단순한 장비 조작보다는, 물성이해에 기반한 조 건설정 능력과 고객 요청을 정확히 반영한 이미지 해석력이 핵심입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저는 단순이미지 출력자가 아니라, 데이터를 이해하고 전달할 수 있는 '분석자'로 성장해왔고, 큐알티에서도 이 역량을 더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 자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