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 20명 1학기 유아관찰일지

1. 만 5세 20명 1학기 유아관찰일지.hwp
2. 만 5세 20명 1학기 유아관찰일지.pdf
책을 덮은 후에는 친구들에게 "우리도 고양이 놀이해 볼까?"라고 말하며 이야기에서 받은 인상을 놀이로 연결한다.
언어 사용에서는 경험, 관찰, 감정을 구체적인 문장으로 구성해 이야기로 확장하며, 친구의 말에 반응하고 연결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책을 덮으며 "이야기 끝났지만 우리도 도와주는 이야기 만들어볼까?"라고 제안하며 친구와 말놀이로 자연스럽게 이어간다.
한 장면을 만들며 이야기를 덧붙이고, 친구와 그림을 비교하며 "너는 낮이고 나는 저녁이에요"라고 말한다.
주변 친구에게 "여기 개미 있어요. 같이 볼래요?"라고 말하며 관찰을 공유한다.
친구가 말하는 중엔 고개를 끄덕이며 경청하는 모습도 보인다.
친구가 아이디어를 더 하자 "좋아요, 그럼 미끄럼틀도 만들어요"라고 말하며 놀이를 확장한다.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경험을 감정과 함께 표현하고, 친구의 말에 반응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확장하는 능력이 관찰됩니다.
예술 표현에서는 감정과 경험을 시각적으로 이야기로 풀어내는 능력이 탁월하며, 자연탐구 활동에서는 감각과도구를 활용해 관찰하고 비교하려는 태도를 보입니다.
체육활동 시간, ㅇㅇ는 훌라후프를 돌리며 "몇 바퀴 돌 수 있을까?"라고 말한 뒤 양팔을 들어 몸통을 이용해 회전을 시도한다.
또래와의 관계에서도 역할 나누기, 협상, 감정이입이 자연스럽고 따뜻하게 표현되며, 예술표현에서는 이야기와 조형을 연결하는 창의적 사고가 잘 나타납니다.
동화 읽기 활동 중 ㅇㅇ는 책 속 장면을 보며 "이 고양이는 외로워 보여요. 친구를 만나고 싶을 것 같아요"라고 말하며 등장인물의 감정을 유추한다.
책을 덮은 후에는 친구들에게 "우리도 고양이 놀이해 볼까?"라고 말하며 이야기에서 받은 인상을 놀이로 연결한다.
놀이도 중 친구가 역할을 바꾸고 싶다고 하자 "그래, 이번엔 내가 국할게"라고 흔쾌히 응하며 놀이의 흐름을 끊지 않고 유연하게 조정한다.
는 친구와 이야기 나누기 중 "우리 집에 새로 강아지가 왔어요. 이름은 '보리'예요. 아직 작아서 하루에 세 번 밥 줘야 해요"라고 말한다.
쌓기 놀이 중"이건 우리 집이에요. 근데 옆에 친구네 집도 만들자요"라며 친구에게 제안한다.
언어 사용에서는 경험, 관찰, 감정을 구체적인 문장으로 구성해 이야기로 확장하며, 친구의 말에 반응하고 연결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동화책을 본 뒤 "이야기 속 아저씨는 처음엔 화났는데, 나중엔 웃었어요. 왜냐하면 친구가 도와줬기 때문이에요"라고 스스로 줄거리와 인물감정을 연결하여 말한다.
책을 덮으며 "이야기 끝났지만 우리도 도와주는 이야기 만들어볼까?"라고 제안하며 친구와 말놀이로 자연스럽게 이어간다.
화단에 핀 꽃을 관찰하던 유아는 "이건 어제보다 꽃잎이 더 열렸어요.해가 많아서 그런가 봐요"라고 말한다.
사회관계에서는 또래에게 배려심 있는 언행과 문제 해결을 위한 제안이 자연스럽게 드러나고, 예술 활동에서는 관찰한 풍경을 상상과 결합 해시각적으로 구성하는 표현력이 탁월합니다.
친구가 난감해 하자 "내가 밑에 먼저 쌓아볼게요. 그런 다음같이 위에 올리면 돼요"라고 제안하며 협력적으로 놀이에 참여한다.
친구가 자신이 만든 구조물에 블록을 덧붙이자 "여긴 기차 길이라서 막으면 안 돼요. 근데 옆에 붙이면 괜찮아요"라고 자신의 생각을 설명하고 양보하며 놀이를 이어간다.
이어 "우리같이 연주하면 비가 오고 천둥도치는 날 같겠다"라고 말하며 이야기 흐름 속에서 소리 표현을 즐긴다.
놀이도 중 친구가 만든 인형침대에 관심을 보이며 "그 거 예쁘다.같이 써도 돼요?"라고 자연스럽게 협력한다.
쌓기 놀이 활동 중, 블록으로 높은 구조물을 만들며 "이건 나무집이에요.비 오면 위에 있어야 안전해요"라고 말한다.
언어 표현에서는 이야기의 감정 흐름을 자신의 경험과 연결하여 해석하고, 친구의 다른 의견을 수용하는 개방적인 태도가 관찰됩니다.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친구와 함께 이야기를 만들어 보드에 그리며 "이건 눈오는 날이고, 여긴 우리 집이에요.밖에 펭귄이 놀러왔어요"라고 설명한다.
사회관계 영역에서는 친구의 행동을 포용하며 협력적으로 놀이를 이끌고, 예술활동에서는 이야기 구조를 시각적으로 구성하며 몰입합니다.
친구가 자리를 떠날 때 "다음엔 우리 집에 도와요"라며 놀이 지속을 제안한다.
친구가 "돈 없어요"라고 하자 "그럼 내일 주셔도 돼요"라며 상황에 맞게 놀이를 이어간다.
친구가 간호사 역할을 맡자 "약 준비해주세요. 주사도 있어야 해요"라며 역할을 나누고, 놀이가 끝난 후 "오늘 진료 다 했어요. 고생했어요!"라고 말하며 놀이를 마무리한다.
풍선 밑에 실선을 이어 사람 손에 연결하고, "얘는 생일이에요. 친구들이 축하해줘요"라며 상황을 상상해 이야기로 만든다.
손으로 조심스럽게 받쳐보며 "이런 건 끈으로 묶어줘야 해요"라고 이야기한다.
활동 후"이번엔 내가 잡아줄게요"라며 친구와 역할을 바꾸고, "다시 돌아가서 해봐요!"라고 격려하며 놀이에 지속적으로 참여한다.
예술 활동에서는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시각적으로 장면을 구성하고 감정을 표현하며, 자연탐구에서는 생물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차이점을 인식하여 친구와나 누는 태도를 보입니다.
활동 중 자신의 감정과 신체 반응을 언어로 표현하며, 체력 회복 후 재참여하는 의지도 높습니다.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경험을 감정과 함께 표현하고, 친구의 말에 반응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확장하는 능력이 관찰됩니다.
, 활동, 친구, 이야기, 표현, 놀이, 만들다, 보다, 자연, 관찰, 경험, 역할, , 설명, , 보이다, 라며, 태도, 언어, 여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