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과정에서 Verilog를 활용한 간단한 연산회로를 직접 설계하고 시뮬레이션하며 RTL 수준의 설계부터 검증까지 전 과정을 익히는 데 주력했습니다.
설계한 회로와 기능을 설명할 때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된 문서와 결과를 제시하는데 강점이 있습니다.
저는 졸업 프로젝트로 저전력 DSP 프로세서를 설계한 경험이 있습니다.
팀 프로젝트에서 설계자가 맡아야 할 핵심 역할은 무엇이라 생각하나요?
저는 팀 프로젝트에서 항상 '설계는 논리 성과 협업의 교차점'이라는 생각으로 임해 왔으며, 이 자세를 S K하이닉스의 설계팀에서도 이어가고 싶습니다.
반도체 설계 분야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저는 학부 시절부터 일관된 목표를 세우고 깊이 있는 학습과 실전 경험을 병행해왔습니다.
특히 졸업 프로젝트에서는 Low-powerDSP 프로세서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협업을 통해 RTL코딩, 합성, 레이아웃까지 전 과정을 직접 다뤄보았고, 팀원들과의 역할 분담과 기술적 토론을 통해 설계의 논리성과 실제 구현의 간극을 좁혀나갔습니다.
결국 해커톤에서 우리 팀은 기술 완성도 부문 1위를 수상했고, 모든 팀원이 큰 자부심을 느끼며 다음 프로젝트까지 이어가게 되었습니다.
저는 졸업 전까지 '논문을 한 편 이상 작성하고, 설계실습에 기반한 설계자 포트폴리오를 완성한다'는 도전적인 목표를 세운 적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학부생이 수업과 과제로 바쁜 시기였지만, 저는 전공 역량을 정리하고 포트폴리오화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실행력- 끝판왕#정리하는 설계자
또 저는 '정리하는 설계자'입니다.
설계도중, 특정 블록의 클럭이 비정상적으로 소비되던 문제가 있었는데, 시뮬레이션 결과와 타이밍 다이어 그램을 분석하여 해당 블록의 enable 신호조건이 잘못 설정되어 있다는 점을 파악했습니다.
팀 프로젝트에서 설계자가 맡아야 할 핵심 역할은 무엇이라 생각하나요?
설계자가 역할을 명확히 이해하고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블록을 빠르게 진단할 수 있어야 검증 단계에서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