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 피해를 경험한 9살 아동에 대해 질적 연구방법으로 인터뷰를 실시할 경우 윤리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질적 연구에서 아동 인터뷰의 민감성
아동학대 피해아동 인터뷰시 윤리적 고려사항
본 보고서에서는 아동학대 피해 아동을 대상으로 질적 인터뷰를 할 경우 연구자가 반드시 고려해야 할 윤리적 사항들을 정리하고, 이를 실천에 옮기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아동학대방지학회 2022 아동학대 피해아동을 위한 인터뷰 지침서
아동학대 피해를 경험한 9살 아동에 대해 질적 연구방법으로 인터뷰를 실시할 경우 윤리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본 보고서에서는 아동학대 피해 아동을 대상으로 질적 인터뷰를 할 경우 연구자가 반드시 고려해야 할 윤리적 사항들을 정리하고, 이를 실천에 옮기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인터뷰에 앞서 아동의 보호자(법적 보호자)의 서면 동의를 반드시 받아야 하며, 동시에 아동 본인에게도 연구의 목적, 방법, 질문 내용, 중단 권리 등을 연령에 맞는 쉬운 언어로 설명하고 동의를 구해야 한다.
인터뷰 장소는 아동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하며, 낯선 환경이나 폐쇄된 공간은 피해야 한다.
또한 감정적으로 불안해질 수 있는 질문은 세심하게 배치하고, 필요한 경우 사전예고 및 정서적 준비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인터뷰 도중학대 장면이나 관련 질문을 무분별하게 반복하거나 강요할 경우, 아동은 학대 당시의 감정을 재경험하는 플래시백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정서적 반응을 면밀히 관찰하며, 아동이 원하지 않는 주제에 대해서는 즉시 중단해야 하며, 외상 후 반응이 나타날 경우 심리상담 연계를 즉각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단, 아동의 생명, 건강, 안전이 위협받는 상황(예 : 현재 진행 중인 학대 정황 발견 등)에서는 예외적으로 관련 기관에 보고할 의무가 있으며, 이러한 조건 또한 사전에 고지해야 한다.
연구자는 아동학대의 특성과 아동의 심리적 특성에 대해 충분한 이해를 갖고 있어야 하며, 적절한 아동면담 기술과 심리적 지지기술을 습득해야 한다.
인터뷰 가능 여부에 대한 사전심리상담사 평가 필요시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