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이론과 분석심리 상담이론에서의 무의식 개념 비교 분석

1.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심리 상담이.hwp
2.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심리 상담이.pdf
두 이론에서의 무의식 개념의 차이
무의식에 대한 차이가 인간관과 치료 목표에 미치는 영향
각 이론에서의 무의식의 차이
무의식과 의식의 관계에 대한 차이
개인 무의식은 프로이트 의무의식과 유사하며, 개인이 경험했지만 의식되지 않거나 망각된 심리적 내용이 담겨 있다.
융에게 무의식은 단순히 억압된 본능이 아니라 의식과 더불어 인간의 심리적 전체성을 구성하는 필수 요소이며, 자아의 확장과 자기 실현을 가능케 하는 긍정적 기능을 가진다.
각 이론에서의 무의식의 차이
프로이트 의무의식은 대부분 억압된 성적·공격적 본능의 잔재이며, 개인의 과거 경험(특히 유년기 경험)에서 비롯된다.
융의 무의식은 개인의 경험뿐만 아니라 인류 보편의 원형적 경험이 내재된 집단 무의식이 중심이며, 보다 상징적·신화적·정신적 차원을 가진다.
반면 융은 무의식을 심리적 성장과 통합의 원천으로 보며, 무의식을 통해 개인은 자아를 초월한 자기(self)를 실현할 수 있다고 본다.
프로이트 의무의식은 개인의 욕망 중심의 폐쇄적 구조다.
프로이트의 인간관은 갈등 중심적이고 결정론적이다.
프로이트 이론의 목표는 무의식을 의식화하여 억압된 내용을 드러내고, 내면의 갈등을 해소하고 증상을 제거하는 것이다.
무의식, 의식, 인간, , 억압, 보다, 이론, 프로이트, 개인, 상담, 경험, 분석, 심리, 통합, 실현, 통해, 자아, 본능, 상징,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