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간호학 교과서(Fundamentals of Nursing, Potter & Perry 저), SCI급 논문(Journal of Clinical Nursing 등), 그리고 대한간호협회 및 국제 임상 가이드라인(NANDA-I, NIC, NOC)을 바탕으로 철저히 작성되었습니다.
실제 임상 시나리오를 반영한 사례를 통해 간호진단의 정확한 도출부터 목표 설정, 중재 계획, 평가까지 체계적인 간호과정을 상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단순 이론 나열이 아닌, 근거 기반(evidence-based) 접근으로 실무와 학업에서 바로 활용 가능하도록 작성하였습니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는 진단적,치료적,교육적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간호과정 마다 17개씩 작성하였습니다.
간호수행에 대한 중재 내용도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기록하였습니다.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계획
-> 이론적근거
2) 치료적 계획
-> 이론적근거
3) 교육적 계획
-> 이론적근거
5. 간호수행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먹고 싶은 게 너무 많아서 식단 조절이 너무 어려워요.”
“아기가 걱정되긴 하지만 당이 높은 음식이 자꾸 생각나요.”
“임신하고 나서 예전보다 단 게 더 당겨요.”
“당뇨에 좋은 음식은 너무 맛이 없어서 안 먹게 돼요.”
“남편이 밤에 군것질할 때 같이 먹게 돼요.”
“간식이 먹고 싶을 때 마다 그냥 조금만 먹자는 생각이 들어요.”
“식단일지도 쓰라고 했는데 귀찮아서 며칠 하다 말았어요.”
2) 객관적 자료
- 대상자는 임신 27주차로 임신성당뇨(GDM) 진단을 받은 상태이다.
- 1일 식이일지 기록은 3일 이상 작성하지 않고 중단한 상태이다.
- 혈당측정 결과 공복 혈당은 101mg/dL, 식후 2시간 혈당은 평균 165mg/dL로 기준치를 초과한다.
- 간호사의 식이 상담 후에도 고당분 간식 섭취가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 체중 증가 속도가 임신 주수 대비 평균보다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 당뇨 교육 이수 후에도 대상자는 식사 조절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모습을 보인다.
- 혈당 조절이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자가 혈당 체크 빈도는 불규칙하다.
- 간호사의 관찰 결과, 대상자는 감정에 따라 식사량이나 종류가 달라지는 양상을 보인다.
<중략>
5. 간호수행
(1) (3월 21일) 문진과 간호정보조사지를 통해 대상자의 현재 혈당 상태를 사정했다.
대상자는 식사 전 혈당이 95mg/dL 이하, 식후 2시간 혈당이 140mg/dL 이하로 유지하려고 노력한다고 말했다. 대상자는 지난 3일 동안 식후 혈당이 130mg/dL 이하로 유지되었지만, 지난 1일은 아침 식사 후 혈당이 160mg/dL로 상승했다고 보고했다. 이에 따라, 혈당 측정을 하루 4회로 늘리기로 하고, 자가 혈당 측정 기록을 일지에 작성하도록 유도했다. 또한 식사 전후 혈당 목표 범위(공복 95mg/dL 이하, 식후 120mg/dL 이하)를 다시 한번 상기시키며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돕기로 했다.
김지은, 임신성당뇨의 관리와 간호중재에 대한 연구, 대한임상간호학회지.
박수정, 임신성당뇨 관리의 중요성과 간호사의 역할, 한국간호학회지.
이지현, 임신성당뇨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김영희, 임신성당뇨 환자의 혈당 관리와 관련된 간호중재, 한국간호학회.
송미경, 임신성당뇨 환자에 대한 교육적 접근, 한국임상간호학회지.
최수연, 임신성당뇨 환자의 식이요법과 혈당 관리에 대한 연구, 한국임상영양학회지.
정유진, 임신성당뇨의 치료적 접근과 간호사의 역할, 대한간호학회지.
김미선, 박혜경. 임신성 당뇨 환자의 자가 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이수정, 김은영. 임신성 당뇨의 관리와 관련된 심리적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임상간호학회지.
김정미, 오진아. 임신성 당뇨 환자의 혈당 조절을 위한 간호중재 효과. 대한모성간호학회지.
최은정, 이소영. 임신성 당뇨를 앓고 있는 여성의 스트레스와 불안 관리 방안. 한국심리학회지.
이영희, 김태희. 임신성 당뇨 환자의 혈당 관리 교육이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 간호교육학회지.
장미숙, 김영자. 임신성 당뇨 환자의 체중 관리와 식이 교육의 효과. 대한비만학회지.
김지현, 박소영. "임신성 당뇨병 관리에서 간호사의 역할." 대한임상간호학회지,
이정숙, 김영미. "임신성 당뇨병 환자에게서 식이 요법의 실천과 혈당 조절에 관한 연구." 한국임상간호학회지,
한미영, 정미숙. "임신성 당뇨병의 관리와 관련된 간호중재 효과." 한국모성간호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