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계획과 중재,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이론적 근거가 모두 명확하고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직접 문헌 조사하여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내용 모두 잘 나누어 풍부하게 중재를 작성했고 이론적 근거가 제대로 되어 있으며 간호목표,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모두 완성도 높은 간호과정입니다.
세부 사항까지 꼼꼼히 신경 써서 작성하였습니다.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계획 및 이론적근거
2) 치료적 계획 및 이론적근거
3) 교육적 계획 및 이론적근거
5. 간호수행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발병 이후 왼쪽 다리가 감각이 없고, 움직이기 어렵습니다."
"눕고 있을 때 피부가 아프고, 누우면 몸이 뻣뻣해지는 느낌이 듭니다."
"병원에 오기 전에 걸을 때 왼쪽 다리가 너무 무겁고 힘이 없었어요."
"몸을 자주 움직이지 못해서 피부가 자주 가렵고, 발 뒤꿈치가 아파요."
"나는 좀 더 자주 움직이고 싶지만, 다리가 너무 약하고 아파서 그러지 못해요."
"화장실 갈 때마다 너무 힘이 들어서 남편이 도와주곤 해요."
"병원에 있을 때부터 부위마다 통증이 있고, 압박이 느껴지는 곳이 많아요."
2) 객관적 자료
- 환자는 뇌경색으로 진단되었으며, 왼쪽 다리의 근력 감소 및 감각 저하가 나타남.
- 왼쪽 다리에서 3/5의 근력 약화가 확인됨.
- 피부에 압박으로 인한 붉은 자국이 왼쪽 엉덩이와 발뒤꿈치에서 관찰됨.
- 환자의 움직임은 제한적이며, 침대에서 좌우로 돌리는데 어려움이 있음.
- 침대에 장시간 누워 있는 상태에서 피부가 건조하고, 일부 부위에서는 압박성 피부손상 위험이 있음.
- 수시로 체위 변경이 필요하지만, 환자가 적극적으로 움직이지 않음.
- 오른쪽 팔꿈치와 무릎 부위에 압력 부위에 붉은 흔적이 있으며, 눌리면 통증을 호소함.
- 환자는 오른쪽 손으로만 물건을 잡을 수 있고, 왼쪽 손은 거의 사용하지 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