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정책은 수치와 데이터 해석이 핵심이므로, 저는 계량분석 능력을 전략적으로 개발해왔습니다.
또한 이러한 수요관리가 실제 산업정책과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분석하고 싶은 목표도 가지고 있습니다.
에너지 전환 정책이 현실과 괴리될 수 있다는 비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탄소중립 목표 하에서의 에너지 수요예측 및 감축 시나리오 분석에 참여하고 싶습니다.
본인의 가치관을 정립하게 된 성장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본인의 가치관이 에너지 경제연구원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어떻게 발휘될 수 있을지 기술해 주십시오
에너지 경제연구원의 연구는 기술·정책·사회적 수용성 등 다양한 요소를 포괄해야 하기에, 저의 균형적 사고관은 통합적 정책 제언의 과정에서 강점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이 분석을 바탕으로 도출한 소비 패턴 변화해석은 수요관리 정책의 타당성을 제안하는 데까지 확장되었습니다.
대학원 재학 중 '에너지 전환 대중인식 캠페인'을 기획하면서, 운영진은 탈원전을 중심으로 메시지를 구성하길 원했지만, 저는 정책 중립성과 학술적 다원성을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에너지 수요관리 및 산업정책 분야에서 기후목표와 경제성 사이의 균형점을 찾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싶습니다.
유관부처 및 산업계와 의 연계 프로젝트에서 데이터 수집-정제-분석까지 전 과정의 품질을 유지하고, 연구자가 현장의 맥락을 해석하는 연결자 역할도 수행하겠습니다.
또한 이러한 수요관리가 실제 산업정책과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분석하고 싶은 목표도 가지고 있습니다.
정량 분석을 통해 현실적인 대안을 설계하고, 수용성 있는 시나리오를 제시하는 것이야말로 학문과 정책이 만나는 가장 본질적인 영역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