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이차전지 소재의 계면 특성 분석과 구조-성능 상관관계연구를 수행하며, 분석 기반 기초연구의 중요성을 깊이 체감했습니다.
입사 후에는 제 TEM, XPS, XRD 등 소재분석 경험을 바탕으로, 차세대 전극 소재의 정밀구조 규명과 반응 메커니즘 해석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지원 분야인 '첨단전략 소재 분석 연구'에 있어 저는 이차전지 전극 소재 및 나노 촉매 소재 분석 경험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Ni계 및 Mn계 전이금속산화물 합성후, 다양한 분석장비를 통해 구조-성능간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규명한 경험이 강점입니다.
이후 XRD로 결정상 구조를 규명하고, FE-TEM을이 용해나노입자의 모폴로지를 정밀 분석했으며, 전기화학 테스트에서는 CV, EIS, GCD 분석을 반복 수행해 우수한 비정전용량을 확인했습니다.
학사과정에서 재료공학을 전공하며 결정학, 고체화학, 표면공학 등 기초과목을 수강했고, 석사과정에서는 에너지 소재 연구실에 소속되어 전극 소재 합성 및 분석에 집중했습니다.
특히 Ni계 및 Mn계 전이금속산화물 합성후, 다양한 분석장비를 통해 구조-성능간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규명한 경험이 강점입니다.
TEM, XRD, SEM, XPS, BET 분석 장비를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분석 데이터를 해석하여 실제 소재 내 반응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데 익숙합니다.
특히 TEM의 EDSmapping을 통해 원소분포 및 미세구조 내의 이종상 분포를 해석했고, XPS 결과를 통해 표면산 화 상태와 활성부위를 비교 분석한 경험이 있습니다.
또한 XRDpeak의 FWHM 분석을 통해 결정성 및 결정 립 크기를 정량화하고, BET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표면적 과반응성 간의 상관관계를 논문화한 경험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나노구조 내 불순상 유무를 TEM, XPS, Raman 등 다중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전기화학 측정과 연계하여 구조와 전기화학반응성과의 상관성을 제시했습니다.
나노 단위에서의 구조와 조성이 최종 성능에 직결되는 이차전지·촉매 소재의 특성상, 분석연구는 단순 데이터 수집을 넘어 기초 메커니즘 규명의 핵심 도구입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정밀분석 인프라와 함께한다면, 기초소재 개발의 속도를 높이고, 산업계의 해석 수요에 기술적으로 기여하는 분석 전문가로 자리매 김 할 자신이 있습니다.
기초과학의 정밀 분석을 통해 산업·학계의 기술 발전을 뒷받침하는 한국 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연구자로서 가장 이상적인 환경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리튬이차전지 ; 음극소재 리튬이차전지 ; 음극소재
목 차
application 및 소재 소개
선정 이유
경제적/사회문화적/기술적
참고문헌
application 소개 ; 리튬이차전지
이차전지란,
충전과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
리튬(..
2025 동우화인켐 [이차전지 재료 개발] 자기소개서 자소서 면접 저는 이 문제를 해결해보고자 실리콘 기반 복합소재를 설계하여 실제 셀 테스트까지 연결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저는 이도전을 통해 단순한 연구를 넘어, '재료-공정-셀' 전 단계를 유기적으로 이해하고 ..
[포스코기업분석] 포스코 미래 성장동력 확보전략 - 친환경경영, 녹색사업 보고서 목 차
Ⅰ. 포스코 장기비전 ………3
Ⅱ. 종합소재 사업 진출 ………4
Ⅲ. 자원 확보 노력 ………5
Ⅳ. 중국시장에 대한 투자 ………5
Ⅴ. 녹색 신사업 육성 ………6
Ⅵ. 원자력 발전 ………6
Ⅶ. 태양광 발전사업 ………6
Ⅷ. 폐기..
2025 현대모비스 디지털재료 자기소개서 대학 시절 고분자 복합재료 및 나노 소재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디지털 재료의 물성을 최적화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저는 현대모비스의 디지털 재료 직무에서 신소재 개발 및 ..
고분자 DSSC
염료 감응 태양전지
[태양전지의 세대간 기술분류 및 특징]
염료 감응 태양전지
[10% 이상의 광변환 효율을 보이고 있는 해외 연구기관]
[대면적 DSSC 효율을 보고한 국외 기관 및 효율]
염료 감응 태양전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