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재학 중 공공정책연구동아리에서 정책제안서를 작성한 경험은 제게 기획력과 자료 분석 역량을 길러준 계기였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하나의 주제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실무적 구조로 연결시키는 기획능력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
다양한 경험 속에서 얻은 역량은 바로 '기획-조율-실행'의 전 과정을 책임감 있게 완수하는 능력입니다.
일반 행정직무에서 가장 중요한 역량은 '정책 및 행정기획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반 행정직무에서 가장 중요한 역량은 무엇이라 생각하나요?
이 경험을 통해 하나의 주제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실무적 구조로 연결시키는 기획능력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
저는 이 역량을 키우기 위해 대학 시절부터 다양한 보고서 작성과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해왔습니다.
특히 '지역기반 청년일자리 지원방안' 주제의 보고서 작성 시, 통계청 고용지표와 지자체 고시자료를 비교 분석하고, 실제 정책 수혜자 인터뷰를 통해 정성적 데이터를 수집하였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논리적인 문서 작성뿐만 아니라, 정책의 실효성을 고려한 실행방안 제시 능력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
또한 공공기관의 정책기획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 행정학 관련 수업과 국회 정책연수 프로그램에도 참여하며 행정실무의 전체 흐름을 익혔습니다.
특히 공공기획동아리에서 주제발표를 맡았을 때, 방대한 데이터를 인포그래픽으로 재구성하고, 보고서 전체를 피드백 기반으로 수정하여 가독성과 설득력을 높인 경험이 있습니다.
주요 업무는 청년정책 홍보 및 기획보조, 데이터 정리, 회의록 작성 및 사업자료 정리였습니다.
첫 번째 성과는 '청년생활비 지원제도 홍보개선안' 기획에 참여한 것입니다.
두 번째로는 '청년정책 통합 데이터베이스 정리' 업무를 맡아, 중복 사업과 실행부서 정보를 엑셀기반으로 통합정리하였습니다.
기획력은 다양한 의견을 구조화하고 실행계획으로 연결하는 힘이며, 협업 능력은 이를 조직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는 기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