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간호진단] 고혈압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 3개 (심박출량감소의 위험성,혈류장애와 관련된 비효과적 말초조직관류,혈압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1. 고혈압.hwp
2. 고혈압.pdf
고혈압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입니다.

간호진단은 아래 3개입니다.
<1> 심박출량감소의 위험성
<2> 혈류장애와 관련된 비효과적 말초조직관류
<3> 혈압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책, 논문, 임상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접근을 통해 작성하였습니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는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간호과정에는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17개 간호계획, 17개 이론적근거, 17개의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작성하였습니다.
<1> 심박출량감소의 위험성
<2> 혈류장애와 관련된 비효과적 말초조직관류
<3> 혈압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간호계획
(1) 진단적 계획 5개
(2) 치료적 계획 5개
(3) 교육적 계획 7개
2)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근거 5개
(2) 치료적 근거 5개
(3) 교육적 근거 7개

5. 간호수행 17개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1) "요즘에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이 차는 느낌이 자주 들어요."
(2) "어떤 일을 하면 너무 힘이 들고 금방 피곤해져요."
(3) "앉아 있을 때도 가슴이 답답하고 불편한 기분이 들어요."
(4) "머리가 아프고 현기증이 날 때가 많아요."
(5) "최근에 자주 기운이 없고 피로감을 느껴요."
(6) "저는 혈압이 높다고 의사에게 들었어요. 그래서 걱정이 돼요."
고혈압, 고혈압 간호진단, 고혈압 간호과정, 고혈압 간호중재, 고혈압 케이스, 고혈압 이론적근거, 고혈압 심박출량감소의 위험성, 고혈압비효과적말초조직관류, 고혈압 혈압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NANDA간호진단
- 김영희, 이진영, 정순희. 고혈압 환자의 심혈관 건강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대한간호학회지, 49(3), 235-244.
- 박성희, 이정화. 고혈압 환자의 자가 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간호과학회지, 50(2), 103-112.
- 정미경, 김선희. 고혈압과 심박출량 감소를 가진 환자의 간호중재 효과. 대한심장간호학회지, 31(4), 210-218.
- 김수영, 이소영. 고혈압 환자 대상 심박출량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간호학연구, 52(1), 56-65.
- 김경숙, 김혜영, & 송지영. "고혈압 환자의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간호중재". 대한간호학회-지, 51(2), 123-131.
- 이지영, 박소연, & 김현주. "말초혈류 장애와 관련된 간호중재: 고혈압 및 비만 환자를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지, 30(4), 45-56.
- 최민희, 김정숙, & 장은숙. "비효과적 말초조직관류 환자의 간호중재와 관리: 실증적 연구". 한국임상간호학회지, 28(3), 22-35.
- 박민정, & 김영희. "고혈압 환자에서 말초혈류 개선을 위한 간호중재 연구". 한국고혈압학회지, 21(1), 10-19.
- 박미경, 김경숙, 이혜경. "고혈압 환자의 건강관리 행동 및 자가 간호능력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대한간호학회지, 52(3), 342-351.
- 김희경, 한승희. "고혈압 환자의 약물 순응도와 혈압 관리 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혈압학회지, 29(2), 125-134.
- 이정민, 박정숙, 김영희. "고혈압 관리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환자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 간호과학연구, 26(4), 222-230.
- 강영미, 정은경. "고혈압 관리 교육이 고혈압 환자의 자가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간호학회지, 35(2), 199-207.
- 이수현, 김서영, 정희정. "고혈압 환자의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간호중재 효과". 한국심혈관간호학회지, 14(1), 4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