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에 영향을 주지 않고 빈 호흡이 있는 대상자에게 측정 가능함
노인은 폐용량이 감소하여 호흡수는 증가한다.
헤모글로빈 기능 : 헤모글로빈 감소는 혈액의 산소 운반량을 감소시켜 호흡수를 증가시킨다.
고도가 높아지면 산소농도가 감소되어 이에 대한 보상을 위해 호흡수와 깊이가 증가한다.
비정상적인 혈액세포 기능(예 : sicklecell질환)은 헤모글로빈의 산소 운반 능력을 감소시켜 호흡수와 깊이가 증가된다.
흡입산소 농도의 감소
흡입산소 농도가 감소하면 혈액의 산소 운반능력은 감소한다.
고유량의 산소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만성폐쇄성 폐질환과 같이 비교적 정확한 산소농도가 필요한 대상자에게 선호된다.
기본간호학에서 알아야 할 활력징후부터 전체적으로 나와있습니다.
활력 징후 측정은 다음에 제시된 지침을 활용한다.
간호사는 활력 징후 측정의 책임이 있고, 안정된 대상자나 특정 활력 징후 측정은 누군가에게 위임할 수 있다.
대상자의 활력 징후 수치와 범위는 흔히 연령 혹은 신체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체온 측정
다른 심부체온 측정기구에 비해 측정의 변화가 심함
구강체온 측정이 불가능할 때 사용
6세심 첨맥박 청진 부위
심 첨-요골맥박
조절은 동맥혈액의 CO2,02, PH에 의해 조절되며 CO2의 증가는 뇌의 호흡 조절 중추를 자극함으로써 호흡수와 깊이를 증가시키고 환기의 증가는 호기를 통해 과다하게 축적된 CO2를 배출시킨다.
암페타민과 코카인 : 때때로 호흡수와 깊이를 증가시킨다.
혈압은 심박 출량, 말초혈관의 저항, 혈액량 혈액의 점도의 동맥의 탄력성 간의 상관성을 반영한다.
혈압은 말초혈관의 저항(peripheralresistance)에 영향을 받는다.
흡입산소 농도가 감소하면 혈액의 산소 운반능력은 감소한다.
환기가 감소하면 유입되는 산소가 감소하므로 저산소증이 발생하고 배출되는 이산화탄소가 감소하므로 혈중의 이산화탄소는 증가하여 과탄산혈증(PaCO2> 45mmHg)이 유발된다.
과다환기는 이산화탄소 분압을 감소시키며 저탄산혈증(hypocapnia), 호흡성 알칼리증(respiratoryallkalos is)을 유발한다.
흡인 방법에는 구강인두(oropharynx) 흡인, 비강인두(nasopharynx) 흡인, 구강기관(orotracheal) 흡인, 비강기관(nasotracheal) 흡인 및 인공기도(artificialairway ;tracheostomytubeendotrachealtube등) 를 통한 기관흡인이 있다.
비강기관 흡인과 기관흡인은 멸균법(steriletechnique)을 적용하고 구강인 두 흡인과 비강인두흡인은 청결법(cleantec hnique)을 사용한다.
두 영역을 모두 흡인해야 할 경우에는 반드시 기관흡인 후에 구강분비물을 흡인한다.
효과적으로 기침을 할 수는 있으나 불비물을 뱉어내는 능력이 부족하여 기도를 청결하게 할 수 없는 대상자를 위해 구강인 두 흡인과 비강인두 흡인을 시행한다.
구강기관 흡인 또는 비강기관 흡인은 대상자가 기침을 할 수 없고 인공기도를 가지고 있지 않을 때 필요하다.
인 공기도를 통한 기관흡인
인공기도를 통한 기관흡인 방법에는 일회용 카테터를 이용하는 개방식 기관 흡인법과 흡인 중에 산소를 공급하며 여러 번 사용 가능한 폐쇄형 카테터를 이용한 폐쇄식기관 흡인법이 있다.
흉부물리요법은 가래가 동반되는 기침이나 흡인을 하기 전에 체위 배액, 흉부타 진법, 진동법 등으로 분비물 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다.
산소 마스크
단기간의 산소 치료에 흔히 사용되며 산소의 유량은 5~8L/분으로 40~60%의 산소농도를 전달할 수 있다.
마스크 옆면에 구멍이 있어 산소농도를 희석시킨다.
부분 재호흡 마스크는 6~10L/분의 산소를 공급하여 40~70%의 산소농도를 전달할 수 있다.
대상자에게 마스크 적용 전산소로 저장백(reservoirbag)을 채워야 한다.
대상자에게 마스크 적용 후 대상자가 내쉬는 공기의 일부는 마스크 옆면의 호기 구멍으로 나가고, 일부는 저장백에 있는 100%의 산소와 혼합된다.
전도(conduction)는 물체 간의 직접 접촉에 의해 열이 이동되는 것으로, 신체는 접촉한 물질의 온도와 피부 표면의 온도가 동일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전도에 의한 열소실이 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