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실천의 관점에 있어서 통합적 접근이 등장한 배경과 그 개념, 특징
이러한 전통적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려고 분화 및 전문화되어 있는 사회복지 실천방법을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다양한 사회복지 실천방법에서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공통적 요소와 역할이 있다는 초점을 맞추어 사회복지 실천통합방법이 나오게 되었다.
사회복지실천 방법의 통합화
전통적 방법은 지나친 분화와 전문화로 서비스의 파편화 현상을 초래함으로써 다양한 문제와 욕구를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가 여러 기관이나 사회복지사를 찾아다녀야 하는 부담감을 야기했다.
이러한 전통적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려고 분화 및 전문화되어 있는 사회복지 실천방법을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다양한 사회복지 실천방법에서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공통적 요소와 역할이 있다는 초점을 맞추어 사회복지 실천통합방법이 나오게 되었다.
사회복지실천 방법의 통합화
전통적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분화 및 전문화되어 있는 사회복지 실천 방법을 통합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는데 1958년 미국 사회복지사협회가 제출한 '사회복지 실천의 작업정의'라는 보고서를 비롯하여 이후 1970년에는 바틀렛(Bartlett 1970)이 그의 저서 사회복지 실천의 공통기반에서 공통된 사회복지 실천 방법의 지식과 가치를 각종 다양한 방법으로 규정하면서 공통된 기초를 묶어냈다.
주목할 것은 여러 학자들이 전통적 방법에 대응한 통합적 방법을 구축하는 기본과정은 사회복지 실천에서 행해지는 여러 형태의 전문분화된 방법과 관계없이 사회복지 실천에 기본적 개념, 기술, 과업 및 활동에 공통적 핵심이 있다는 것이다.
밀레이(Miley, 1995)는 "통합적 방법이란 사회복지 실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현대적 접근방법이며 이러한 관점은 개별적 접근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인간체계에 대한 개입으로 사회복지 실천영역의 확장'이라고 주장하였다.
한국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 /이준우저, 파란 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