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중심 모델의 실천 과정은 클라이언트가 문제와 그 해결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대화의 과정이다.
칭찬은 진술된 목적이나 문제 해결 과정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찬사와 지지의 진술이다.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은유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침묵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결 중심 모델에서는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에게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회복지사의 생각을 클라이언트에게 밝히는 것이 중요할 때도 있다.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를 이해한다는 것은 대화의 내용과 과정을 모두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해결 중심적 대화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달라지기 원하는 것과 그러한 일이 일어나게 할 가능성에 역점을 두는 것이다.
구체적인 질문의 방법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때는 언제입니까,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어떻게 압니까?
기적 질문은 개입 과정에서 클라이언트가 기적이 일어난다면 해결이 될 것이라고 하거나 변화가 되면 기적일 것이라고 말하는 것을 기초로 개발된 질문이다.
기적 질문은 문제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지 않고 문제와 분리하여 해결을 상상하게 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가 개입을 통하여 변화하기 원하는 것을 설명하게 하며 문제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기적 질문은 문제가 해결된 상태를 상상해보고 해결하기 원하는 것들을 구체화. 명료화하며 치료 목표를 현실적, 구체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질문 기법이다.
당신이 밤에 잠자는 동안에 기적이 일어나 지금 염려하는 문제가 모두 해결되었다고 상상해봅시다. 아침에 자녀들이 엄마의 어떤 모습이나 행동을 보면 지난밤에 기적이 일어나 엄마가 변했다고 생각하겠습니까, "당신에게 변화가 일어난 것을 다른 가족들은 무엇을 보고 알 수 있을까요
클라이언트를 알고 싶어 하는 자세는 사회복지사의 진실한 호기심을 전달하는 태도를 말한다.
클라이언트를 알고 싶어 하는 자세를 취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본적인 의사소통 기술은 다음과 같다.
경청.사회복지사의 비언어적 행동,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는 핵심 용어의 모방, 요약, 개방형질을 쉽고 간략한 설명. 침묵. 클라이언트의 비언어적 행동, 사회복지사의 자기 노출, 대화의 내용과 과정, 칭찬. 클라이언트의 인식에 대한 확인, 감정이입, 초점을 클라이언트에게 되돌리는 것, 해결 중심적 대화이다.
클라이언트는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말을 진지하게 듣고 있는지를 사회복지사의 언어적 반응뿐 아니라 비언어적 행동을 통해 판단한다.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이야기를 주의 깊게 경청하고 있었다는 것을 재확인시켜주고 사회복지사 또한 요약을 통해 자신이 내담자의 말을 정확하게 듣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침묵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복지사의 자기 노출은 클라이언트에게 자신의 개인적인 관찰, 경험이나 생각들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해결 중심 모델에서는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에게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갖고 있는 문제의 성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도한 노력.자신들의 삶 속에서 달라지기를 원하는 것.
즉. '문제 중심적 대화'로부터 '해결 중심적 대화'로 전 환해야 한다.
해결 중심적 대화'의 확대가 중요하다.
해결 중심적 대화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달라지기 원하는 것과 그러한 일이 일어나게 할 가능성에 역점을 두는 것이다.
실천가의 역할은 클라이언트의 성공 경험. 문제 해결 능력을 인정하고 강화, 확대하여 클라이언트 스스로 문제 해결을 위해 작은 변화를 시작하고 계속 하도록 돕는 것이다.
그러나 해결 중심 모델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몇 가지 점에서 인간의 회복과 성숙에 한계가 있다.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