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당도의 측정방법] 타당도 검증방법(타당도 평가, 타당도의 종류)

1. [타당도의 측정방법] 타당도 검증방법(.hwp
2. [타당도의 측정방법] 타당도 검증방법(.pdf
타당도의 측정 방법] 타당도 검증 방법(타당도 평가, 타당도의 종류)
타당도의 측정 방법] 타당도 검증 방법
외관적 타당도는 측정수단의 타당도에 관한 연구자의 주관적 평가에 기반을 둔다.
이와 같은 외관적 타당도에 의해서 측정수단을 평가하는 절차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예측적 타당도는 측정수단과 측정 결과 사이의 상관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앞에서 언급한 주관적 검증 방법이나 객관적 검증 방법에 의해서 측정 수단을 검증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 때 그 대안으로 구성적 타당도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의 문제는 어떤 타당도가 현실적으로 우리가 사용하게 될 측정수단의 타당도를 평가하는 데 가장 적절한 가의 문제이다.
사회복지의 이해: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타당도의 측정 방법] 타당도 검증 방법(타당도 평가, 타당도의 종류)
이처럼 조작적정의에 대한 주관적 평가방법에 기초를 둔 타당도 평가방법에는 외관적 타당도(facevalid)와 내용적 타당도(contentvalid)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외관적 타당도는 측정수단의 타당도에 관한 연구자의 주관적 평가에 기반을 둔다.
이와 같은 외관적 타당도에 의해서 측정수단을 평가하는 절차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d.만약 전문가들 사이에 합의가 이루어질 경우, 연구자는 질문 문항들이 외관적 타당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만족하면서 동시에 이들 문항들이 '보수주의'라는 개념을 측정할 수 있다고 간주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외관적 타당도는 사용이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척도의 타당도 검증 방법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외관적 타당도는 지나치게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척도의 타당도 검증 방법으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외관적 타당도는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대상이 되는 측정수단을 반복적으로 평가할 수 없다는 중요한 문제가 발생한다.
일치적 타당도는 조사자가 사용하는 측정수단이 기존의 측정수단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증명할 수 있을 경우에 성립한다.
다시 말해서 조사자가 개발한 새로운 측정수단(조작 적정의, 지표 또는 척도)에 의해서 얻어진 결과가 기존의 잘 알려진 측정 수단에 의해서 얻어진 결과와 일치할 때 조사자의 측정 수단은 타당하다고 인정받게 되는 것이다.
예측적 타당도는 측정수단과 측정 결과 사이의 상관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예측적 타당도는 당해 측정의 결과와 외부적 기준 사이의 상관관계이다.
이들 응답은 어떻게 해석될 것인가?", "측정수단은 처음에 의도했던 개념(구성)을 측정하는가? 혹은 이 수단은 다른 개념을 측정한다고 해석되지는 않는가?" 등이 구성적 타당도와 관련된 질문들이다.
구성적 타당도는 연구에서 사용되는 개념과 이론적 가정이 측정 수단과 관련이 있는가를 결정하기 위해서 측정 수단과 전반적인 이론적 틀을 관련시켜 검토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 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타당도, 측정, 수단, 평가, 방법, 검증, 외관, 개념, 구성, 주관, 사용, 예측, 사회, 의하다, 복지, 결과, 내용, 위해, 척도,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