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아교육] 청각장애아의 특성

1. [청각장애아교육] 청각장애아의 특성.hwp
2. [청각장애아교육] 청각장애아의 특성.pdf
문제 중 하나가 이들 아동에게 사용되었던 지능검사가 청각장애 아동에게 적절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청각장애 아동들이 자신의 지능에 맞는 문해 기술을 발달시키지 못하는 이유가 여전히 축소되고 있을 뿐이다.
청각장애아동의 말과 언어의 발달은 가장 심각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영역이다.
이 정도의 청력 손실을 가진 아동은 대화 말소리는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언어를 습득하고 말을 사용할 수 있다.
아동의 언어 발달 지체로 나타나는 명백한 결과는 학업성취도의 저하이다
구어로 수행되는 지능검사는 일차 언어가 몸짓인 아동의 능력을 엄청나게 과소평가하였다
대부분의 청각장애 아동들이 자신의 지능에 맞는 문해 기술을 발달시키지 못하는 이유가 여전히 축소되고 있을 뿐이다.
학업적으로나 직업적으로 청각장애 아동들이 성공할 수 있도록 이 아동들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하여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
청각장애아동의 말과 언어의 발달은 가장 심각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영역이다.
청각장애 아동의 말은 가청아동에 비해 느리게 발달하며, 그 결과 또래 아동과 가족으로부터 고립 과 정서적 어려움을 겪게 된다(Kaland&Salvatore, 2003). 청력 손실이 말과 언어에 미치는 영향은 청력 손실의 정도, 청력 손실을 입은 시기, 청력 손실을 발견한 시기, 중재를 시작한 시기 등 여러 변인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정도의 청력 손실을 가진 아동은 대화 말소리는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언어를 습득하고 말을 사용할 수 있다.
언어를 습득한 후 청력 손실을 갖게 된 경우는 언어를 습득하기 전에 청력 손실이 발병한 경우보다 언어와 말의 기술 그리고 추후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낮은 학업성취도가 성취, 태도, 자신감 등과 관계가 있을 수도 있으나, 그 근본적인 원인은 청력 손실의 결과로 나타나는 언어 결함이다.
읽기 성취의 궁극적인 수준은 초기 아동기에 성취한 언어 발달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자료는 교육적 성취에 대한 언어의 영향이 읽기에 국한되지 않음을 제시한다.
인간 발달/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교문사/2016
아동, 언어, 청력, 손실, 청각장애, 발달, 성취, 지능, , 검사, 시기, 기술, 점수, 사용, 습득, 영향, 연구, 학업, 읽다,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