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행정가의 임무는 조직화된 서비스의 전달로 압축될 수 있기 때문에 사회복지 전달체계와 관련된 여러 문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사회복지전달체계는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자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또는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만들어진 조직적 장치이다
민간사회복지기관 간에 복지정책 및 계획의 수립이 나 서비스의 조정을 할 수 있는 협의체 활동이 미약하여 서비스의 중복, 누락 현상 등이 발생하고 있다.
공공복지행정체계의 경우, 사회복지 전문인력이 아닌 비전문 인력(일반행정인력)이 복지행정을 수행함으로써 수혜 대상자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자질(지식과 기술)이 결여되어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공공복지행정체계상의 복지전담부서 및 전문인력 부재로 일반 행정인력이 주로 담당하고 있어 관료주의적 권위주의, 경직성, 획일주의, 행정편의주의가 발생하고, 복지 대상자의 다양한 욕구에 대해 능동적이고 선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공공복지행정의 조직적 환경을 보면 일반 내무행정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문적 복지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조직체계 인 공공복지전담부서 및 인력의 조직적 배치가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민간복지기관들은 만성적인 재정난으로 정부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정부는 민간사회복지기관의 운영에 지나치게 개입함으로써 민간부문의 자율성과 전문성이 크게 제약받고 있다.
그동안 정부는 민간복지기관에 대해 행정적, 재정적으로 간섭과 통제를 해왔고, 이에 대해 민간복지기관은 독립적 사업운영을 도모하기보다는 오히려 순응하여 온 측면도 있다.
민간부문의 정부에 대한 의존성, 불가분의 관계 때문에 민간복지기관에 대한 일반 주민들의 이해가 부족하고, 참여 의식이 낮아 주민들의 요구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지역 단위의 각종 민간 사회복지기관, 사회복지협의회 그리고 공동모금기관 등의 사업에 대해 관이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민간복지기관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민간성이 훼손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