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 간의 관계 수립을 위한 목적
사회복지에서 모든 클라이언트의 문제나 욕구는 기본적으로 심리사회적이라고 가정한다.
클라이언트의 감정 표현은 사회복지 실천 과정에서 어떤 목적을 제공한다.
사회복지사의 목적은 이러한 감정이 클라이언트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를이 해하는 것이다.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감정 내용에 따라 언어적 반응을 할 때에는 목적성과 선택성이 가장 중요하다.
사회복지사 자신의 감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주입시키는 것이다.
즉, 사고와 감정의 두 가지 요소를 포함하는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태도는 클라이언트에게 전달된다(Biesteck, 1973).
따라서 사회복지 실천에서는 적어도 개별 클라이언트의 정보는 비밀로서 보장될 것이라는 약속이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개별화의 수단인 자세한 배려, 약속을 지키는 첫, 면접을 위한 준비, 면접의 내밀성, 클라이언트의 참여, 융통성 등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특수한 입장 또는 상황에 대해 배려하는 것은 클라이언트의 입장이 어느 정도 사회복지사에게 이미 이해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개별화의 증거가 된다.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에게 관심을 집중라고 그를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면접 장소가 클라이언트에게 비밀이 존중되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클라이언트의 감정 표현은 어떠한 목적을 위해서 표현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욕구와 목적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의 도적 감정 표현의 목적
클라이언트의 감정 표현은 사회복지 실천 과정에서 어떤 목적을 제공한다.
비에스텍(1973)은 "통제된 정서적 관여란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감정에 대하여 민감해야 하며, 감정의 의미를 이해하고 클라이언트의 감정에 목적을 가지고 적절히 반응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사회복지사의 통제된 정서적 관여에서의 세 가지 구성요소는 민감성, 이해, 반응 등이다.
사회복지사의 목적은 이러한 감정이 클라이언트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를이 해하는 것이다.
수용이란 일탈적 태도나 행동의 승인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비심판적 태도의 원칙
그리고 이것은 클라이언트의 태도, 가치 기준 또는 행동에 관한 평가적인 판단을 한다는 확신에 기초를 두고 있다.
비심판적 태도의 가치와 기준
비심판적 태도는 사회적 ․법률적 ․도덕적 기준이나 가치체계에 대한 무관심이나 거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클라이언트의 잘못 여부를 심판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태도, 가치 기준과 행동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비밀보장의 원칙
비밀 보장이란 전문적인 직업적 관계에서 나타나게 되는 클라이언트에 관한 비밀정보의 보존이다.
따라서 비밀보장은 사회복지 실천에서 가장 기본적인 원칙인 것이다.
비밀보장은 클라이언트의 기본적 권리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 실천에서는 적어도 개별 클라이언트의 정보는 비밀로서 보장될 것이라는 약속이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사회복지사가 비밀정보를 보장한다는 것은 사회복지 실천 관계의 기본이 되는 요소이다.
클라이언트에게 도움이나 원조가 대단히 중요하고 필요할지라도 만일 사회복지사가 비밀보장의 원칙을 어겼다는 사실을 알게 될 때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 간의 관계는 급속히 갈등 관계로 전환될 것이다.
그러나 비밀보장이 아무리 중요할지라도 한계가 있다.
사회복지의 이해: 윤찬영 저, 정민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