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환경관련 업체의 아세안 진출이라는 최종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대 아세안 환경협력은 일련의 협력단계를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함.
- 환경협력의 사이클은 “환경의식 향상을 위한 계몽․교육”→“환경관리능력 향상을 위한 Capacity Building→각국의 환경수요조사 및 타당성 분석”→“우리나라의 환경관리 시스템의 보급․확대”→“프로젝트 안건형성을 위한 교섭”→“프로젝트의 획득 및 실시”로 구분할 수 있음.
[표Ⅵ-1] 환경협력의 단계 및 협력수단
단계
목적
수단
주체
환경의식향상
상대국의 환경의식을 향상시켜 환경개선사업의 수요기반 확충
○세미나, 워크숖
○공동조사, 연구
○초청교육연수
○전문가 파견
○NGO 활동지원
○대학 및 연구기관
○교육연수기관(예: KOICA)
○민간환경단체, 민간원조단체
○환경관련 공사, 공단 및 기타 환경행정기구
환경관리능력배양(Capacity Building)
상대국 정부 및 기업의 환경규제, 환경경영능력을 향상시켜 환경시장규모를 확대
○환경공무원 초청연수
○한․아세안 환경정책협의회(정부)
○한․아세안 환경산업협의회(업계)
○환경 센터의 컨설팅
○환경기자재 제공
○환경정책․제도 도입을 지원
○환경부
○환경산업관련 협회
○환경센터
○KOTRA
○원조기관(KOICA, 외교부)
○환경관리공단
정계․업계․단체와의 인적 네트워크 형성
상대국의 각계의 핵심인물과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기업진출의 기반마련
○현지 주재원의 설치와 주재원의 Face-to-Face 관계형성
○인재교환 프로그램 가동
○환경정책협의회
○환경산업협의회
○환경산업 미션단 파견
○환경 ODA의 활용
○환경센터
○환경부
○환경산업관련 협회
○대학, 연구소
수요 및 타당성 분석
....
한-중 FTA 협상에서의 환경분야,한중FTA,중국환경정책,한중환경협력 한-중 FTA 협상에서의 환경 분야
목 차
1. 연구배경 및 FTA 내 환경 분야의 필요성
2. 중국내 환경정책 동향
3. 한중 환경협력의 배경 및 현황
4.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통해 본 한국과 중국의 환경 분야에 대한..
국제무역환경론 FTA는 점점 국제무역시장의 중심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1950년대 유럽에서 시작되었으며, 지역주의에 반대하던 미국이 1980년대 후반부터 다자체제와 함께 지역주의를 동시에 추진하면서 확산되는 전기를 마..
경제학원론 - 한·미 fta협상이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 [경제학원론]
한․미 FTA협상이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
차례
Ⅰ.
서 론
………
1
1.
문제 제시
2.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
Ⅱ.
본 론
………
1
1.
한․미 FTA
………
1
(1) FTA의 정의
(2) 한국과 FTA를 맺은..
[경제] 한미FTA타결과 앞으로의 예상변화 Ⅰ. 서론
Ⅱ. 본론
1.한미 FTA협상 과정
2. 한미FTA 핵심쟁점 타결현황
1)농산물
2)자동차
3)섬유
3. 기존의 FTA와 한미FTA의 비교분석
1)상품분야
2)농산물
3)원산지 규정
4)무역구제
5)SPS(위생검역..
한국과 기타국가들과 FTA추진현황 한국의 FTA체결 현황
목차
1. 한국의 FTA체결 현황
2. 협상 중인 나라
3. 공동연구 중인 나라
4. 발효 된 나라
5. 시사점
1. 한국의 FTA체결 현황
한국이 FTA를 하는 이유
90년대 중반 이후, 세계적인 FTA 체결 증..
FTA사례와 RTA사례 본 자료는 FTA의 개념, 한국의 FTA 현황, FTA사례(한미 FTA, 한미 FTA 부문별 효과, 한-EU FTA, 한-EU FTA 효과 , 한미FTA와 한EU FTA 비교), 지역무역협정 종류, RTA사례(유럽연합, 북미자유무역협정, 남미남부공..
한미 FTA 보건의료분야 협상 결과와 시사점 제목 : 한미 FTA 보건의료분야 협상 결과와 시사점
[목차]
1. FTA란 무엇인가
2. 한미 FTA 보건의료분야 협상 결과
3. 협상 결과로 인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4. 협상 결과가 시사 하는 점
5. 보고서 작성 시 느..
한중 FTA협상의 주요내용과 기대효과 본 자료는 한-중 FTA의 추진배경과 추진현황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한-중 FTA 협상 주요내용과 주요쟁점 등에 대한 핵심적 내용을 설명하였음. 또한, 한-중 FTA 협상의 기대효과로서 한-중 FTA 타결시 각 산업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