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의 과정 중 종결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중 종결과정에 대.hwp
2.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중 종결과정에 대.pdf
종결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활동을 시작할 때부터 계획된다.
클라이언트의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개입이 종결된 이후 클라이언트가 경험할 정서적 반응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는 초기 계획 단계뿐 아니라 종결이 임박해 올 때부터 준비해야 할 것이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원조 과정에서의 경험을 평가하도록 돕는다.
시간 제한적인 방식에 의한 종결은 초기 단계부터 사회복지와 클라이언트가 개입의 시간을 미리 제한하고 시작하는 것이다.
시간 제한이 있는 계획적 종결과정에서 사회복지사가 수행해야 할 과업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사가 이직을 하거나 다른 업무를 맡게 되면 어쩔 수 없이 클라이언트와 종결을 하게 된다.
즉, 문제 해결 과정에 있어 사회복지사의 개입과 영향력이 미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스스로 문제에 대처해야 한다는 불안과 긴장을 느낄 수 있고, 클라이언트가 과도하게 사회복지사에게 의존적이었던 경우에는 사회복지사와의 분리에 따른 상실감, 두려움, 자신감 결여, 사회복지사에 대한 일시적인 불신감 및 원망감 등을 경험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의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개입이 종결된 이후 클라이언트가 경험할 정서적 반응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는 초기 계획 단계뿐 아니라 종결이 임박해 올 때부터 준비해야 할 것이다.
즉,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계획하는 초기 단계부터 종결 시기를 정하여 이를 클라이언트가 인식할 수 있도록 돕거나, 클라이언트의 변화 목표가 달성되었거나 사회 복지사에게 사정이 생긴 경우 등과 같이 종결의 사유가 있을 때는 이에 대한 계약을 미리 할 수도 있다.
종결에 대한 감정 처리를 돕는다.
이러한 종결은 종종 클라이언트의 해결되지 못한 저항감 때문이거나 문제가 이미 해결되었다는 비현실적인 믿음의 표현일 경우가 있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는 종결 전에 클라이언트의 저항감을 파악하여 해소하는 것이 좋으며, 클라이언트가 비합리적인 이유로 종결을 요구할 때는 이와 직면하여 토론하는 것이 좋다.
떠나는 성원 역시 집단과 분리되는 것에 대한 양가감정, 상실감, 떠남에 대한 죄책감, 계속 남아있기를 요구하는 집단에 대한 분노 등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종결은 종결 시기를 클라이언트가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종결을 맞는 것보다 충격이 적고 종결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어 종결에 따르는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할 충분한 시간을 갖게 된다.
그러나 제한된 기간 내에 클라이언트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을 때 클라이언트는 진행 도중 서비스가 중단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고,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종결과 관련된 감정 처리 이외에 남아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타 기관에 의뢰해야 하는 경우에는 이중적인 부담을 갖게 된다.
시간 제한이 있는 계획적 종결의 경우 시간 제한이 없는 종결보다는 종결에 따르는 부정적인 정서적 반응이 덜하겠지만 이 또한 애착형성과 상실 경험이 있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종결에 대한 반응에 민감해야 한다.
이런 경우 사회복지사가 바뀌는 데 대한 클라이언트의 감정을 잘 처리하도록 돕고, 새로운 사회복지사나 기관으로 옮기는 준비를 잘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의뢰(referrals)는 클라이언트를 다른 기관이나 전문가에게 보내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 행해진다.
사회복지의 이해: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 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클라이언트, 사회, 종결, 복지사, 대한, 문제, 경우, , 해결, 감정, 서비스, 되어다, 과정, 계획, 개입, 집단, 때문, 제한, 제공, 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