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확률표집(non-probabilitysampling)은 모집단 각각의 사례가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을 알지 못하는 경우이다.
임의표 집은 표본을 선정할 때 조사자의 임의대로 사례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눈덩이 표집은 눈덩이를 만드는 것같이 표본추출을 하는 방법이다.
눈덩이 표집 하나의 연결망을 가진 사람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할 때 적절한 표본을 추출할 수 있으며, 모집단을 파악하기 곤란한 대상을 표본 추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비확률표집(non-probabilitysampling)은 모집단 각각의 사례가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을 알지 못하는 경우이다.
비확률표 집으로 할당표집, 임의표집, 유의표집, 눈덩이표집이 널리 쓰인다.
할당표 집은 충화표집과 상당히 유사한데 마지막 단계에서 표본추출이 작위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각 사례가 추출될 확률이 다르며 추출될 확률도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조사 결과에 대해 정확한 통계적 추론을 할 수 없다.
임의표 집은 표본을 선정할 때 조사자의 임의대로 사례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눈덩이 표집은 구드맨(Goodman, 1961)에 의해 사용되기 시작한 표본추출 방법으로,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연결망(interconnectednetwork)을 가진 사람들이나 조직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때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즉, 눈덩이를 굴려서 키우듯이 연결망을 통해 원하는 만큼 많은 수의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 엠앤비, 2015
확률표집과 비확률표집을 비교하여 서술해 봅시다 단순 무작위 표집
층화표집
확률표 집이란 표본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무작위 표집(randomsampling) 방법이 사용되는 표집방법이다.
지적했듯이 단순 무작위 표집은 무작위 방법을 통해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사회복지조사론] 확률표집과 비확률표집을 비교하여 서술해 봅시다 표집 과정은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표본을 모집단에서 선정하는 체계적인 절차를 의미합니다.
확률표 집은 모집단의 각 구성원이 표본으로 선택될 확률이 알려져 있으며, 보통 균등한 확률을 가지는 표집방법을 말..
[사회복지조사론] 확률표집과 비확률표집을 비교하여 서술해 봅시다 표집 과정은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표본을 모집단에서 선정하는 체계적인 절차를 의미합니다.
확률표 집은 모집단의 각 구성원이 표본으로 선택될 확률이 알려져 있으며, 보통 균등한 확률을 가지는 표집방법을 말..
통계학의 기본개념(S급자료) 통계학의 기본개념들을 매우 구체적으로 요약해 놓았습니다.
시험 공부로도 매우 좋은 자료입니다.
1. 통계학(statistics)이란?
2. 통계학의 영역
3. 통계학의 목적
4. 주요분석
5. 데이터수집
6. 척도의 속성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