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황과전망] 한국의종교다원주의현황

1. [현황과전망] 한국의종교다원주의현황.hwp
2. [현황과전망] 한국의종교다원주의현황.pdf
[현황과전망] 한국의종교다원주의현황
한국의 종교다원주의 현황

머리말
한국교회가 20세기 후반에 당면하고 있는 신학적인 문제의 하나는 기독교와 타종교간의 관계라 할수 있다. 한 예로 필자가 금년 3월에 이화여자대학교 종교학과의 초청으로 기독교와 타종교 사이의 관계라는 주제로 강의하게 되었는데 강의 후 질문 시간에 이 종교학과 여교수 한분의 심각한 질문을 받게 되었다. 이 교수는 독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분으로 서양 현대신학에 많이 물들어 있는 분이었다. 오늘날 30억의 인구를 가지고 있는 대 아시아 대륙에서 기독교인의 수가 단지 3% 밖에 안되는 극소수의 비율을 차지하며 대정통종교로 가득한 이 대륙에서, 또 한국만 해도 70%가 넘는 인구가 비기독교인인 실정에서 어떻게 보수주의 신학자들이 강조하는 그리스도의 유일성과 종교의 다원성을 부인하는 신학이 이 시대에도 적합할 수 있겠는가 기독교는 이러한 배타적인 신학을 버리고 다른 종교와 협조하여 지상천국을 이루는데 힘을 써야 한다고 하였다.
물론 이같은 질문은 한국의 신학자에게서만이 아니라 세계 도처에서 들어볼 수 있는 것이다. 다원주의 사회를 풍요롭게 하는 일은 대화인데 이 대화를 통해서 서로 인정, 관용, 탐구(Acceptance, Tolerance, and Exploration)할수 있는 상대주의 사고가 기독교 내에서도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미국의 존힉(John Hick)교수는 다음과 같은 종교 대화의 이유를 논하고 있다. 오늘날 종교간의 대화에 대하여 회의를 품거나 전혀 무시하는 종교인은 마치 해가 중천에 떴는데도 해가 뜨면 어떻게 될 것이냐고 따지는 시대착오에 사로잡힌 사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종교인이 신앙제일주의, 보수주의, 청결주의라는 이름으로 우리들의 주위에 상존하고 있다는 사실은 실로 슬픈 일이 아닐 수 없다.그 이유는 세계는 하나의 세계가 되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