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려움을 겪을 때 가장 먼저 위로, 지지받을 수 있고,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존 관계 내의 사람들을 찾게 된다. 자신이 힘들 때 누군가 내 옆에서 내 감정에 귀를 기울여 주고, 이해해 준다면 한결 문제가 가벼워지고 편안해질 수 있다. 이는 사회적 지지체계(관계망)가 그만큼 우리들의 삶에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은 관계적 동물이고, 수용적인 사회적 지지 내에서 있을 때 상대적으로 안정감을 더 많이 느낀다. 사회적 지지는 클라이언트의 관계망 속에서의 실질적이고, 정서적인 도움과 지원을 의미하고, 개인의 이 같은 지지구조와 과정을 사회적 지지체계라고 말한다.
Lambert Maguire는"사회적 지지는 어떠한 사람의 사회적 체계, 즉그 사람이 살고 있는 사회적 환경 또는 생태적 환경 내에서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일컫는다. 사회적 환경은 가족, 친구, 직장동료, 이웃을 포함하는 비공식적 체계와 사회사업가, 의사, 변호사, 목사 및 다른 분야 전문가들을 포함하는 공식적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Caplan(1974)은 지지체계란 "지속적인 관계 패턴으로 이것은 개인의 심리적 ․ 신체적 통합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Lambert Maguire, 장인협 ․ 오세란 역, 1996 재인용).
클라이언트들은 문제에 직면하여 혼자임을 자각하는 경향이 크다(아무리 주위를 둘러보아도 나를 도와줄 사람은 아무도 없더라). 평소 실질적이고 정서적인 도움과 지지를 아끼지 않았던 외부자원들이 충분하다는 사실을 믿지 않고, 찾으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클라이언트들은 사회적 지지체계에서 상실을 경험한 사람들이다.
사회복지사로서는 그런 사람들에게 기존의 외적 지지자원의 존재를 스스로 인식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얼굴 찌푸리지 말아요). 그리고 기존의 외부 지지자원들이 크게 활성화되지 못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어려움이 쉽게 해결되기 어려웠다면 기존의 지지체계를 활성화시켜야 할 것이고, 만약 외부자원의 존재나 도와줄 여력이라는 면에서 불충분하다면 충분히 그 지지체계를 개발해 줄 필요가 있다.
사회복지사는 사회적 지지와 관련해서 우선 클라이언트의 가족, 친구, 이웃, 동료, 목사, 자조집단, 지지집단이 존재한다는 것을 클라이언트가 느끼도록 고무하고 장려해야 한다. 과거 클라이언트에게 지지를 보내 준 주변들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그때의 감정들을 떠올리게 하면서 과거 사회적 지지의 성공감에 대해 함께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확대가족을 관계망화하는 기술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역사적으로 지지의 가장 기본적 단위는 가족이었다. 왜냐하면 결혼과 가족은 사람들에게 강하고 친밀한 유대를 제공하고 가장 깊은 내면의 두려움이나 희망, 사랑, 의미 등을 살피도록 해 주기 때문이다. 기본적인 가족의 지지체계가 없다면 사람들은 현대의 참이 주는 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