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집행모형] 하의상달 접근모형

1. [정책집행모형] 하의상달 접근모형.hwp
2. [정책집행모형] 하의상달 접근모형.pdf
[정책집행모형] 하의상달 접근모형에 대한 레포트 자료입니다.
[정책집행모형] 하의상달 접근모형

정책결정과 정책집행이 명확히 구분되는 단계라고 보는 상의하달 접근모형과는 달리 하의상달 접근모형은 집행되어야 할 '정책'을 확인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본다. 이 모형은 한 발 더 나아가 정책은 어쩌면 의도적으로 복잡하고 불확정적이고 모호하고 심지어 무의미하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고 본다. 또한 집행의 의지가 불확실한 채로 정책결정이 행해질 수도 있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정책결정의 점증모형이 설명해주고 있는 바와 같이 정책은 협상과 타협의 산물일 수 있다. 대부분의 정책은 갈등하는 가치간의 타협을 대변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그러한 갈등하는 세력 ․ 가치들은 정책결정 단계에서 모든 구체적인 사항들에 대해 완전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제 세력들은 잠정적이고 포괄적인 수준에서 정책의 내용을 구성하는데 만족하고, 정책의 구체적인 내용들에 대한 논의는 집행단계로 미루게 된다. 따라서 정책집행 단계에도 갈등하는 제 세력과 가치들이 지속적인 경쟁상태에 놓여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대다수의 정책들은 핵심적 이익들의 타협사항을 포괄하고 있는데, 그들 간의 타협은 한 번에 결판이 나는 것이 아니라 정책을 실행에 옮기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어떤 면에서 보면, 정책결정자들은 이러한 현상을 바람직한 것으로 보고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그것이 결정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상의 논의는 집행과정이 단순한 기술적 실행과정이 아니라 정치과정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집행과정에서도 중요한 결정이 내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정책입안 단계에서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형태에 머물게 된 정책의 내용을 집행단계에서 보다 구체화해 나가게 되고 이는 집행과정에서 입안단계 못지않게 중요한 정책결정이 수행된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은 정책과정을 결정단계와 집행단계로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어려우며, 정책이 '상호 연결된 일련의 결정들'로 규정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정책집행의 하의상달 접근모형론자들은 이러한 현상이 어느 정도 불가피하며 바람직하기도 하다고 주장한다. 그 논거는 첫째, 정책내용을 둘러싼 갈등이 정책입안과정에서 완전히 해소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둘째, 특정 정책과 관련된 정보들이 가능한 한 많이 수집되었을 때 핵심적인 결정을 내릴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정책입안이 아니라 정책집행단계에서 보다 잘 갖춰질 수 있다. 셋째, 정책의 집행을 담당하고 있는 이들은 그 분야

...(이하 생략)
개념, 정의, 특징, 과제, 문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