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를 기술자와 구별하는 것은 실천을 결정하는 데 이론을 활용한다는 것이고, 전문직이 비전문직과 구별되는 것은 일반인에게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비전문직도 전문직에 못지않게 많은 기술을 가지고 있다. 주요한 차이점은 이론적 체계라 할 수 있는 하나의 체계로 조직된 지식체계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이다. 이론적 준거틀은 문제가 어떻게 발전하는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사회복지실천기술을 정의하기 전에 '기율의 정의를 먼저 살펴보면, "기술은 학습을 통해서 발달되는 신체적 ․ 언어적 행동의 복합적 조직이며, 특별한 목표를 지향하거나 특별한 활동에 집중하는 것"이다. 기술은 사회복지사가 실천상황에서 사용하는 지식, 기술적 전문성, 판단 및 경험의 정도를 의미하며, 행동과 중재의 과정을 의미한다. 사회복지실천은 여러 상황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폭넓은 기술이 필요하다.
Bear와 Federico(1978)는 실천기술의 요소를 (1) 정보수집과 사정, (2) 전문적 자기계발과 활용, (3)개인, 가족 및 지역사회의 실천 활동, 평가의 네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미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교육과정정책성명서"는 기술을 완전히 구분하기가 어렵지만 기술의 두 가지 유형을 인지적 기술과 상호작용적 기술 또는 관계적 기술로 분류하고 있다. 인지적 기술(cognitive skills)은 상황 속의 사람을 생각하고, 사람과 상황에 관한 이해를 개발하고, 활용해야 할 지식을 명백히 하고, 중계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상호작용적 기술(interactive skills) 또는 관계적 기술(relationship skills)은 개인, 가족, 집단 및 지역사회와 함께 일하는 데, 이해를 전발하고 개발하는 데, 함께 계획을 수립하는 데, 행동계획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사는 광범위한 기법(technique)을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사회복지실천의 기초기술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면접기술 : 의사소통 및 관여(engagement) 기술
' 사정기술 :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맥락에서 문제나 어려움 발견
' 개입기술 : 문제나 어려움 해결 기술
' 팀워크 기술 : 문제해결을 위해 다른 전문직과 합동으로 노력하는 기술
' 지지망 구축 기술 : 개입효과의 지속성을 유지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자립 유도
' 협상기술 : 클라이언트의 복지와 관련된 주변체계와의 협상기술
' 평가 및 종결기술 :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협력적 노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