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역사(발달과정)

1.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역사(발달과.hwp
2.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역사(발달과.pdf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역사(발달과정)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역사(발달과정)

가족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실천의 역사는 그 시작부터 지금까지 연결되어오고 있다. 많은 사회복지사들이 가족치료의 이론과 모델을 개발한 것으로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다음은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속에서 가족에 대한 개입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정리한 것이다.
첫째, 자선조직협회부터 1910년대 후반까지의 기간이다. 이 시기는 자선조직협회의 활동이 대부분 빈곤가족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져 왔으며 가족은 개인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환경으로 인식되었다.
즉 가족이 개인의 인성 발달에 주된 책임이 있고, 가족기능의 향상이 사회복지실천의 목적이 되며, 환경적 개입의 초점을 가족에 두었다.
둘째, 1920년대이다. 이 시기는 정신위생운동으로 인해 관심의 초점을 다시 개인에게 둔 시기이다. 정신분석의 영향으로 개인의 심리내적인 문제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었다.
셋째, 193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의 시기이다. 이 시기는 대량실업과 빈곤문제로 인해 공공복지활동이 시작된 시기이다. 기능주의학파의 영향으로 다시 가족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고, 기관의 기능정립과 다양한 서비스를 규정짓기 위해 가족에 대한 관심을 회복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의 가족은 개인을 이해하기 위한 배경으로서 또한 개인을 대신하여 치료되어야 할 대상으로서의 의미가 강하였다.
넷째, 1950년대이다. 이 시기는 가족 자체가 하나의 원조대상이 되기 시작하였다. 가족의 역동성에 관한 사회과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가족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필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가족중심적 개별실천에서 가족단위의 사회적 기능향상은 개별가족성원에 대한 직접적 치료와 사회적 환경에 대한 간접적 치료에 의해 달성된다고 보았다(Hartman & Laird, 1983).
다섯째, 1960년대에 접어들면서 일반체계이론 ․ 가족체계이론 등의 개념들은 '환경 속의 인간'이란 초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해 주었는데, 사회체계적 접근은 개인초점에서 벗어나 가족 전체를 이해하고 가족에 개입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관점을 제공했다. 체계이론의 등장에 따라 개별가족은 가족성원들의 단순한 집합이 아니라 역할 ․ 규칙 ․ 신념 ․ 의사소통유형 ․ 조직구조를 발달시키며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의 조직화된 집단으로 이해되기 시작했다.
여섯째,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가족해체와 그로 인한 사회적 대응에 대한 관심이 증대된 시기이다. 또한 정치적 영역에서 포괄적인 가족정책의 개발
...
개념, 정의, 특징, 특성,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