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한국)의 시민단체(NGO) 및 시민운동의 발전과정

1. 우리나라(한국)의 시민단체(ngo) 및 시.hwp
2. 우리나라(한국)의 시민단체(ngo) 및 시.pdf
우리나라(한국)의 시민단체(NGO) 및 시민운동의 발전과정
우리나라(한국)의 시민단체(NGO) 및 시민운동의 발전과정

I. 시민단체(NGO)의 민중운동과 시민운동

한국 NGO의 발달과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한국시민사회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1987년 6월 항쟁은 한국시민사회의 발전에 커다란 획을 긋는 사건이었지만 그 전에도 NGO는 존재해 왔다. 한국 현대사의 흐름 속에서 NGO가 어떻게 변화되고, 발전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한국 GO의 특성파악을 위한 선행 요소이다. 1990년대 이전에는 NGO의 개념이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기서는 NGO의 기반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 한국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의 흐름 속에서 시민사회단체의 변화와 성장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는 해방부터 1961년 5 -16 군사쿠데타에 이르는 시기로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극우반공주의적 사회가 고착되어 가는 시기이다. 이 시기 시민사회단체들은 대중조직들이 관변화되고, 정부의 탄압으로 공식적 영역에서 사회운동이 소멸되면서 탈정치적, 비정치적으로 존립하게 된다.
둘째 시기는 1961년부터 1987년으로 개발독재와 권위주의 체제가 작동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독재주의에 대한 저항으로 사회운동의 구심력이 높아지고, 시민단체도 권위주의에 종속된 관변단체와 그것과 대립하는 민중운동, 그리고 탈정치화된 시민단체들이 혼재되어 존재하였다. 또한 1980년 전두환 정부 시대를 거치면서는 그동안 배제되었던 제도정치와 급진적 사회운동이 전면적으로 결합하여 국민적인 저항운동으로 발전하면서, 1987년 이후 민주주의 이행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이 형성된다.
셋째 시기는 1987년 이후의 민주주의 이행기이다. 이시기는 자율적인 제도정치적 공간과 시민사회적 공간이 확장되면서 사회운동도 제도정치와 재야운동, 민중운동, 시민운동 등 다양하게 분화되었다.
1987년에서 1990년 초가 시민운동이 민중운동과 다른 정체성을 확보하면서 분리되는 시기라면, 1990년대 중반 이후는 시민운동이 더욱 확산되고 내부의 분화가 촉진되는 시기로 시민운동의 다원화 현상이 나타나고,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가지고 영역이 확장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II. 1987년 이후 한국 시민단체(NGO)의 발달배경

앞에서 살펴본 정치적인 변화와 더불어 1987년 이후 한국
...
개념, 정의, 특징, 특성,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