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자원봉사활동 발전과정]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의 역사

1. [한국의 자원봉사활동 발전과정] 우리.hwp
2. [한국의 자원봉사활동 발전과정] 우리.pdf
[한국의 자원봉사활동 발전과정]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의 역사에 대한 레포트 자료.
[한국의 자원봉사활동 발전과정]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의 역사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의 생성 시기는 삼한시대부터 상부상조를 목적으로 하는 계(契)조직을 그 근원으로 한다. 이는 순수한 민간협동체조직으로 취미나 그 밖의 생활에 공통된 분야에서 공동으로 제례, 회식과 같은 행사를 통해 이해관계를 같이 해왔다. 신라시대의 화랑도 정신은 삼국사기 4권 원광서학에 귀산과 추항이 원광범사를 찾아가 계명을 받은 사군이충, 사친이효, 임전무퇴, 살생유택, 붕우유신의 화랑오계가 있으며, 이들 화랑오계를 분석해 보면 충, 효, 용, 인, 신으로 대별할 수 있다.
삼국사기, 화랑세기 등에 기록된 화랑도의 자선활동은 당시 고대국가에 의한 공적 구휼정책의 일환으로 나타난 것이 아니라, 화랑오계의 정신을 소중히 여기고 선행과 정의의 길을 걷겠다고 하는 그들의 일상생활신조에서 우러러 나온 것으로서 민간 청소년집단에 의한 자발적 봉사활동으로 평가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율곡 선생께서 바람직한 인간이 되는 길은 사회에서 덕을 쌓는 것이라고 주장한 말이 오늘에 이르러 자원봉사운동의 바탕이 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덕은 그 내용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여 인과 예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인은 '남을 적극적으로 사랑하는 행위'로서 이 또한 이타주의와 맥을 같이 하는 소극적 행동체계이다.
이와 같이 우리의 전통사회에는 이웃이 곤경과 불행에 처했을 때 자발적으로 나서서 도와주던 미풍양속들이 있었다. 농경사회에서 공동작업을 위한 두레, 각종 상부상조, 계, 향약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미풍양속은 지방에 따라 다양한 명칭과 기능을 지닌 독특한 상부상조 관행들로서 오늘날의 자원봉사활동과 직 ․ 간접으로 이어져 있으며 이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두레는 지방에 따라 공굴, 공굴이, 조리, 동네논매기, 향두품어리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및날부터 우리나라 각지에 있던 단순한 형태의 민간협동체의 하나로서 촌락단위에 조직된 농민들의 상호 협동체를 말한다. 두레의 조직은 그 기원이 유구하여 별리 원시공동체에서 유래한 유풍, 유제로 인식되며 자연발생적으로 생긴 소박하고 원시적인 농촌의 농민 중심 협동체이다. 두레는 촌락공동체 내부질서, 즉 공동방어, 공동노동, 공동예배, 공동유흥, 상호 관찰, 상호 부조 및 심지어 토지소유제도의 변천 후에도 오랫동안 공동소유의 기반 위에 협동조직체로서 우리 민족의 촌락자치질서를 이끌어 온 모체가 되었으며 무보수봉사가 원칙이었다.
우리나라 역사상 계조직이 어느 시기에 어떻게 조직되었는지 그 유래와 연대가 정확하지는 않으나 문헌상에 나타난 최초의 것은 신라 초기 유리왕 때 시작된 가배계라고 한다. 또한 신라시대의 화랑도에서 유래된 향도계는 남성조직으로서 최초의 계였다. 본래 원시사회에서 같은 부족 간의 인보상조 정신을 기본으로

...(이하 내용 생략)
개념, 정의, 특징,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