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시에는 청소년 내담자의 특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시간적 지속을 의미하는 중기 과정은 성인보다 속도감과 명쾌감을 더 요구하는 청소년 내담자에게는 또 다른 도전적 문제이다.
반신반의하는 청소년 내담자를 데리고 초기 과정이라는 산을 넘은 상담자는 초기 과정으로도 지쳐 있는 내담자를 다시 독려하여 더 높은 중기 과정이라는 산을 넘으려면 청소년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파악하여 전략을 세우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I. 여러 가지 상담 과정 단계들
Egan(1986)은 상담을 크게 세 과정으로 나누고 각 과정을 다시 세 단계씩 나누어 총 9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상담자가 그 과정과 각 단계에서 해야 할 과제를 준거로 삼았다. 첫 번째 과정은 상담의 초기에 해당하고, 두 번째, 세 번째는 중기에 해당하나 상담을 종결하는 종결기에 대해서는 따로 다루지 않았다.
첫 번째 과정은 '내담자가 호소한 문제를 그대로 이야기로 읽기'로 이를 위해 상담자는 세 가지의 중요한 일을 해야 한다.
그 첫 단계는 내담자로 하여금 이야기를 편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고, 두 번째 단계는 초점화를 통해 내담자가 보다 명쾌해지도록 도와주는 것이며, 세 번째 단계는 도전하기를 통하여 내담자로 하여금 행위 차원에서 자신의 문제를 새롭게 바라보도록 돕는 것이다.
두 번째 과정은 '내담자의 문제를 극본화하고 목표 설정하기'로 네 번째 단계는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를 극본화하도록 돕는 것이고, 다섯 번째 단계는 내담자로 하여금 행위 차원에서 자신의 문제를 새롭게 바라보도록 돕는 것이다.
세 번째 과정은 '내담자로 하여금 행동하게 하는 것'으로 일곱 번째 단계는 내담자로 하여금 행동 책략을 생각하도록 돕는 것이고, 여덟 번째 단계는 그 책략 중 선택하여 행동계획을 하도록 돕는 것이며, 아홉 번째 단계는 계획을 실시하도록 돕는 것이다.
Carktuff와 Berenson(1967), Petterson(1974), Shertzer와 Stone(1980)등은 내담자가 자신을 탐색하고 그때까지 부인했던 자신을 실제로 체험해 보는, 즉 자신의 내면을 향하는 단계와 높아진 자기이해에 바탕을 두고 건설적 행동을 시도해 보는 단계로 나누었다. 전자에는 공감, 존중, 구체성과 같이 비교적 반응적이고 수동적인 상담자 반응이 필요하고 후자에는 진솔함, 직면, 즉시성과 같이 비교적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반응을 필요로 한다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