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적 상호작용론

1. 상징적 상호작용론.hwp
2. 상징적 상호작용론.pdf
상징적 상호작용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그 이름이 함축하듯이 인간을 상징해석자(Man, the Symbol Interpreter)로 본다. 이 이론의 핵심은, 인간은 주어진 현실세계나 자극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사회적 의미를 부여하고 그 부여된 의미에 기초해서 반응한다는 것이다. 즉, 인간의 행동은 그 주어진 상황을 어떻게 정의하고 이해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사회교환이론의 토대가 되었던 행동주의 심리학을 비판하는 작업에서 출발한다. 다음의 도식을 비교하면 그 차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행동주의 심리학 : 자극 -> 반응
상징적 상호작용론 : 자극 -> 해석 -> 반응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도식에 의하면, 인간은 반응하기 전에 자극을 나름대로 해석하고 그 해석된 의미에 따라 행동하는 존재이다. 보기를 들어서, 한 사람이 지나가는 행인을 보고 웃었을 때, 만약 그 웃음을 친절한 호의로 해석한다면 행인도 같이 웃음으로 답례할 것이다. 그러나 그 웃음을 일종의 비웃음이나 미친 사람의 행위라고 생각한다면, 행인은 화를 내거나 혹은 외면하고 빨리 지나치려 할 것이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창시자 중 한 명인 미드(George Herbert Mead)에 의하면, 인간에게는 특수한 자질이 있는데, 그것은 마음(mind) 혹은 심성을 지녔다는 사실이다. 이 마음은 주변의 대상에게 상징을 부여함으로써 의미를 찾고, 언어라는 의사소통의 상징적 수단을 이용하고, 상징을 해석할 능력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이런 마음의 힘은 사람이 태어나서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자아(self)를 형성할 때 비로소 활성화된다. 다시 말해서 미드는 "인간 사회란 마음과 자아가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고 전제하였다.
미드는 자아가 아동기의 세 가지 기본 단계에서 생겨난다고 설명한다. 그 첫째는 '준비 단계(preparatory stage)'이다. 이 단계에서 어린이는 주위 사람을 단순히 모방하지만 그가 모방하는 행동의 의미를 이해하지는 못한다.
둘째는 '놀이 단계(play stage)'이다. 이 단계는 어린이가 다른 사람의 역할을 그대로 흉내 내면서 자기도 그런 행동을 해보면서 노는 단계이다. 준비 단계의 모방과는 달리, 이제 어린이는 자신이 흉내 내는 역할의 의미를 어느 정도 이해한다. 가령 소꿉장난을 하면서 엄마, 아빠, 아기, 이웃집 아줌마의 역할을 혼자서 다 놀아 보면서 그들의 구실을 배우는 것이다. 하지만 이때의 자아는 아직도
...
개념, 정의, 특징, 특성, 과제